Fig. 17 Molten pool flow pattern in GMAW

Simulations of Weld Pool Dynamics in V-Groove GTA and GMA Welding

V-그루브 GTA 및 GMA 용접의 용융 풀 동역학 시뮬레이션

연구 배경 및 목적

문제 정의

  • V-그루브 용접에서는 용접 아크의 열 유속, 아크 압력 및 전자기력(EMF)을 해석하는 것이 중요함.
  • 기존의 축대칭 모델은 V-그루브 용접에서 발생하는 타원형 대칭 아크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함.

연구 목적

  • 타원형 대칭 아크 모델을 사용하여 용융 풀 거동을 CFD(전산유체역학)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 전자기력 분포를 새로운 방식으로 계산하여 보다 정확한 용접 해석 제공.
  • GTAW(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 및 GMAW(가스 금속 아크 용접)에서의 차이를 비교 분석.

연구 방법

수치 모델링 및 경계 조건

  • Navier-Stokes 방정식 및 VOF(Volume of Fluid) 기법을 사용하여 용융 풀의 유동 해석 수행.
  • 아크 열 유속(QA), 대류 및 복사 열 손실(Qconv, Qrad), 증발 열 손실(Qevap) 고려.
  • 타원형 대칭 아크 모델을 도입하여 기존 축대칭 모델 대비 개선된 열분포 및 전자기력 예측 수행.

전자기력(EMF) 모델 개발

  • 좌표 변환을 활용하여 전자기력 모델을 타원형 대칭 형상에 맞게 조정.
  • GTAW와 GMAW의 용융 풀 형상 차이에 따라 EMF 적용 방법 차별화.
  • 좌표 매핑을 이용한 새로운 V-그루브 전자기력 모델을 개발하여 기존 모델의 한계를 극복.

주요 결과

GTAW와 GMAW에서의 용융 풀 거동 차이

  • GTAW에서는 EMF 좌표 매핑이 필요, GMAW에서는 필요 없음.
  • GTAW에서는 용융 풀 표면이 기울어져 있지만, GMAW에서는 평평하게 형성됨.
  • 좌표 매핑 후 용융 풀 흐름 방향이 보다 현실적으로 재현됨.

시뮬레이션 및 실험 비교

  • GTAW 및 GMAW 실험 결과와 시뮬레이션 비교 시 높은 일치도 확인.
  • 좌표 매핑을 적용한 모델이 기존 모델 대비 더 정확한 용접 비드 형상 예측 가능.
  • 전자기력 모델을 수정한 후 용접 비드의 폭과 침투 깊이가 실험값과 더욱 유사해짐.

결론 및 향후 연구

결론

  • 타원형 대칭 아크 모델과 새로운 전자기력 모델을 적용하여 용접 시뮬레이션의 정확도를 향상.
  • GTAW에서는 좌표 매핑을 적용한 EMF 모델이 필수적임.
  • GMAW에서는 좌표 매핑 없이도 타원형 대칭 EMF 모델을 직접 사용할 수 있음.

향후 연구 방향

  • 더 다양한 용접 공정 조건(전류, 전압 변화)에 따른 모델 개선 연구.
  • 실제 산업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 평가 및 추가 검증.
  • 다층 용접에서의 용융 풀 거동 예측 및 최적화 연구.

연구의 의의

이 연구는 V-그루브 용접에서 기존의 축대칭 모델이 아닌 타원형 대칭 모델을 적용하여 용융 풀 거동을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를 통해 용접 품질 개선 및 최적화 설계가 가능하며, 향후 다양한 용접 공정에 응용될 수 있다.

References

  1. Cho DW, Na SJ, Lee MY (2009) Expectation of bead shape using non-linear multiple regression and piecewise cubic hermite interpolation in FCA fillet pipe welding. J KWJS 27(5):42–48, in Korean
  2. Cho DW, Na SJ, Cho MH, Lee MY (2011) A study on molten pool flow for various welding positions of V-groove GMA pipe welding, IIW conference, Istanbul
  3. Zhang W, Kim CH, DebRoy T (2004) Heat and fluid flow in complex joints during gasmetal arc welding part II. J Appl Phys 95(9):5220–5229
  4. Hu J, Tsai HL (2008) Modeling of transport phenomena in 3D GMAW of thick metals with V groove. J Phys D Appl Phys 41(6):065202
  5. Cho YT, Na SJ (2005) Application of Abel inversion in real-time calculations for circularly and elliptically symmetric radiation sources. Meas Sci Technol 16(3):878–884
  6. Cho WI, Na SJ, Cho MH, Lee JS (2010) Numerical study of alloying element distribution in CO2 laser–GMA hybrid welding. Comput Mater Sci 49(4):792–800
  7. Cho JH, Na SJ (2009)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molten pool in GMA-laser hybrid welding. Weld J 88(2):35s–43s
  8. Cho MH, Lim YC, Farson DF (2006) Simulation of weld pool dynamics in the stationary pulsed gas metal arc welding process and final weld shape. Weld J 85(12):271s–283s
  9. Dupont JN, Marder AR (1995) Thermal efficiency of arc welding processes. Weld J 74(12):406s–416s
  10. Reddy AA, Guha B, Achar DRG (2002) Finite Element modeling of three-dimensional transient heat transfer in stainless steel (304) pulsed GTA weldments. Numer Heat Tran Part A 41(1):41–46
  11. Lin ML, Eagar TW (1986) Pressures produced by gas tungsten arcs. Metall Mater Trans B 17(3):601–607
Result

Process Simulation and Development for Laser Beam Welding with Rotating Bifocal Optics

회전 이중초점 광학(Rotating Bifocal Optics)을 이용한 레이저 빔 용접(Laser Beam Welding) 공정 시뮬레이션 및 개발

연구 배경 및 목적

  • 문제 정의: 레이저 빔 용접(LBW, Laser Beam Welding)은 고속 용접, 작은 열영향부(HAZ, Heat-Affected Zone), 변형 최소화 등의 장점으로 산업 생산에서 널리 사용된다.
    • 그러나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과 같은 특정 재료의 용접 시 균열(Cracks) 및 기공(Pores) 발생 문제가 남아있다.
    • 회전 이중초점 광학(Bifocal Optics with Rotating Technique)은 용접 중 온도 제어를 개선하고, 용융 풀(Molten Pool) 내 균일한 온도 분포를 통해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연구 목적:
    • FLOW-3D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이중초점 광학을 사용한 회전 레이저 빔 용접 공정 시뮬레이션을 수행.
    • 레이저 출력(Laser Power, LP), 회전 속도(Rotational Speed, RS), 용접 속도(Welding Speed, WS) 등의 공정 매개변수를 최적화하여 스테인리스강의 용접 품질을 평가.
    • 실험 및 시뮬레이션 결과 비교를 통해 모델의 신뢰성 검증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최적화 방안 제시.

연구 방법

  1. 실험 설정 및 시뮬레이션 환경
    • Ruhr University Bochum 실험실에서 LMB 회사와 협력하여 스테인리스강 AISI 304를 대상으로 실험 수행.
    • TruDisk 4001D 디스크 레이저 시스템 사용:
      • 이중초점 거리(Bifocal Distance): 0.8 mm.
      • 섬유 직경(Fiber Diameter)점 크기(Dot Size): 0.1 mm.
      • 시편 크기: 50 mm × 50 mm × 15 mm.
    • 공정 변수:
      • 용접 속도(WS): 2000 mm/min.
      • 레이저 출력(LP): 2 kW 및 4 kW.
      • 회전 속도(RS): 2500 ~ 5000 rev/min.
  2. FLOW-3D 시뮬레이션 설정
    • FLOW-3D WELD 모듈을 사용하여 레이저 키홀(Keyhole) 형성 및 용융 풀의 형상 변화 시뮬레이션.
    • 레이저 경로의 x 및 y 좌표 모델링:
      • 원형 진동(Circular Oscillation) 방식을 통해 정확한 빔 이동 경로 계산.
      • 이중초점 광학 시스템에서는 0.8 mm 간격으로 두 개의 동일한 경로 생성.
    • 모든 실험 조건을 동일하게 입력하여 수치 모델의 정확도를 높임.

주요 결과

  1. 용접 형상(Geometry) 분석
    • FLOW-3D 시뮬레이션실험 결과 비교에서 높은 일치도 확인.
    • 레이저 출력 및 회전 속도 변화에 따른 용접 깊이(Weld Depth, WD) 및 용접 폭(Weld Width, WW) 분석:
      • 2 kW 출력 그룹(Group 1):
        • 최대 용접 폭: 2392.05 µm, 최대 깊이: 2294.77 µm (RS: 2500 rev/min).
      • 4 kW 출력 그룹(Group 2):
        • 최대 용접 폭: 3422.97 µm, 최대 깊이: 3382.70 µm (RS: 2500 rev/min).
  2. 공정 매개변수 최적화
    • 회전 속도 4000 rev/min, 레이저 출력 2 kW에서 기공 및 균열 최소화.
    • 회전 속도 증가용접 깊이 증가하지만, 5000 rev/min 이상에서는 기공 증가.
    • C7 시편(4 kW, 4000 rev/min)이 가장 적은 기공을 보임.
  3. 시뮬레이션과 실험 결과 비교
    • 시뮬레이션 결과: 폭 2300 µm, 깊이 a 2120 µm, 깊이 b 1900 µm.
    • 실험 결과: 폭 2367.89 µm, 깊이 a 2161.91 µm, 깊이 b 1924.39 µm.
    • 10% 이내의 오차율을 보여, 시뮬레이션이 실제 용접 공정 예측에 유용.

결론 및 향후 연구

  • 결론:
    • 회전 이중초점 광학을 활용한 레이저 빔 용접 공정 시뮬레이션이 높은 정확도와 효율성을 입증.
    • FLOW-3D 소프트웨어를 통해 용접 풀 형상 및 온도 분포를 예측할 수 있으며, 공정 매개변수 최적화 가능.
    • 회전 속도 4000 rev/min레이저 출력 2 kW스테인리스강의 최적 용접 품질 제공.
  • 향후 연구 방향:
    • 다양한 재료 및 용접 조건에 대한 시뮬레이션 확장.
    • AI 및 머신러닝을 활용한 실시간 용접 품질 예측 시스템 개발.
    • 산업 현장 적용을 위한 대규모 실증 연구 수행.

연구의 의의

본 연구는 FLOW-3D 시뮬레이션을 통해 회전 이중초점 광학 시스템을 적용한 레이저 빔 용접 공정의 최적화 가능성을 입증하고, 기공 및 균열을 최소화하여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며, 산업용 스테인리스강 용접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LFP

Optimizing 3D Laser Foil Printing Parameters for AA 6061: Numerical and Experimental Analysis

AA 6061 합금의 3D 레이저 포일 프린팅(3D LFP) 최적화: 수치 및 실험적 분석

연구 배경 및 목적

  • 문제 정의: 3D 레이저 포일 프린팅(LFP)은 금속 포일을 적층하여 정밀한 구조물을 제작하는 기술로, 레이저 용접을 통해 층을 쌓아가는 방식을 사용한다.
    • 금속 포일빠른 냉각 속도효율적인 열전도를 제공하여 미세 입자(fine-grained) 구조 형성에 유리하다.
    • 그러나 알루미늄 합금(AA 6061)과 같은 고반사율 금속레이저 용접할 때, 스패터(spattering), 기포(bubble) 형성, 미세 균열(microcrack)과 같은 결함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
  • 연구 목적:
    • Laser Circular Oscillation Welding (LCOW) 기술을 LFP 공정에 적용하여 레이저 용접 결함을 줄이는 방법 연구.
    • 인공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과 FLOW-3D 시뮬레이션을 결합하여 최적의 용접 공정 매개변수 도출.
    • 실험 및 시뮬레이션 결과 비교를 통해 모델 신뢰성 검증용접 품질 향상 방안 제시.

연구 방법

  1. LCOW 기술 적용 및 실험 설정
    • AA 6061 포일(두께 0.3mm)과 기판(두께 5mm)을 사용하여 연속 파이버 레이저 시스템(최대 출력 1000W, 스캔 속도 550 mm/s, 스캔 주파수 227 Hz)으로 실험.
    • 레이저 빔의 원형 진동(Circular Oscillation) 모션을 사용하여 용융 풀(Molten Pool) 형상 및 위치 제어.
    • FLOW-3D 소프트웨어를 통해 열원 모델링 및 유체의 자유 표면 이동을 추적.
    • 에너지 밀도가 가우시안(Gaussian) 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볼륨 오브 플루이드(VOF) 기법을 사용하여 키홀(Keyhole) 형상 변화 추적.
  2. 시뮬레이션 및 ANN 모델 개발
    • FLOW-3D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활용하여 ANN 모델을 학습시켜 용접 풀 깊이 및 온도 예측.
    • 원형 패킹 디자인(Circle Packing Design) 기법을 사용하여 36개의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ANN 학습에 사용.
    • ANN 모델은 평균 99%의 예측 정확도(R=0.99)를 보여, 신뢰성 높은 프로세싱 맵(Processing Map) 생성.
    • 레이저 출력, 스캔 속도 및 주파수에 따른 용접 풀 깊이 및 폭 최적화.

주요 결과

  1. 실험 및 시뮬레이션 비교 분석
    • 최적화된 공정 매개변수: 레이저 출력 800W, 스캔 속도 550 mm/s, 스캔 주파수 227 Hz.
    • FLOW-3D 시뮬레이션 모델의 예측 오차는 약 10% 내외로, 실험 결과와 높은 일치도를 보임.
    • 용접 부위의 상부 표면에서 균열(cracks)이나 기공(porosity)이 발견되지 않음.
    • 샘플 단면에서의 기공율(Porosity)은 0.12%로 매우 낮음.
  2. 프로세싱 맵 분석 및 최적화 매개변수 도출
    • 용접 풀 깊이(0.6 ~ 0.95 mm) 및 폭(1.05 mm 이상)이 균열과 기공을 최소화하는 최적의 조건으로 설정.
    • 스캔 주파수 150 Hz 이상에서 알루미늄 합금의 열균열 감수성(hot cracking susceptibility) 감소.
    • 세부 영역별 프로세싱 맵을 통해 다양한 용접 조건에 대한 품질 특성 분석.
  3. 다양한 실험 조건에 따른 결과 비교
    • LCOW(Laser Circular Oscillation Welding) 전략을 적용한 샘플에서는 균열과 기공 발생이 거의 없었음.
    • 비진동 레이저 용접(NOLW) 전략에서는 0.41%의 기공율을 보인 반면, LCOW 샘플에서는 0.12%로 현저히 감소.
    • LCOW 전략 적용 시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 Sa 값은 7.27μm, NOLW 샘플은 20.87μm로, LCOW가 더 매끄러운 표면 제공.

결론 및 향후 연구

  • 결론:
    • FLOW-3D 시뮬레이션과 ANN 모델을 활용한 공정 최적화 방법AA 6061 합금의 3D LFP 공정에서 뛰어난 성능을 입증.
    • LCOW 기술을 통해 기공과 균열을 줄일 수 있으며, 용접 품질을 크게 향상시킴.
    • 최적화된 공정 매개변수 적용 시 용접 표면 거칠기 및 기공율을 최소화할 수 있음.
  • 향후 연구 방향:
    • 새로운 소재와 기술의 발전에 따라 LCOW 최적화 매개변수의 지속적인 재평가 필요.
    • 마이크로구조(Microstructure) 모델링을 통한 시뮬레이션 결과의 정밀도 향상.
    • AI 및 머신러닝을 통한 실시간 용접 품질 예측 모델 개발.

연구의 의의

본 연구는 FLOW-3D 및 ANN 모델을 활용한 3D LFP 공정 최적화 방법을 제시하고, 레이저 용접 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여, 산업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입증하고 알루미늄 합금의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Reference

  1. C.-H. Hung, T. Turk, M. H. Sehhat, and M. C. Leu, “Development andexperimental study of an automated laser-foil-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system,” Rapid Prototyping Journal, vol. 28, no. 6, pp. 1013-1022, 2022.
  2. C.-H. Hung, W.-T. Chen, M. H. Sehhat, and M. C. Leu, “The effect of laser weldingmodes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304L stainless steel parts fabricated by laser-foil-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The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 vol. 112, pp.867-877, 2021.
  3. C. Chen, Y. Shen, and H.-L. Tsai, “A foil-based additive manufacturingtechnology for metal parts,” Journal of Manufacturing Science and Engineering,vol. 139, no. 2, p. 024501, 2017.
  4. C.-H. Hung, Y. Shen, M.-C. Leu, and H.-L. Tsai, “Mechanical Properties of 304LParts Made by Laser-Foil-Printing Technology,” 2017.
  5. C.-H. Hung, A. Sutton, Y. Li, Y. Shen, H.-L. Tsai, and M. C. Leu, “Enhancedmechanical properties for 304L stainless steel parts fabricated by laser-foil11 printing additive manufacturing,” Journal of Manufacturing Processes, vol. 45,pp. 438-446, 2019/09/01/ 2019, doi:https://doi.org/10.1016/j.jmapro.2019.07.030.
  6. C.-H. Hung et al., “Aluminum parts fabricated by laser-foil-printing additivemanufacturing: processing,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Materials, vol. 13, no. 2, p. 414, 2020.
  7. Y. Kawahito, N. Matsumoto, Y. Abe, and S. Katayama, “Laser absorption ofaluminium alloy in high brightness and high power fibre laser welding,”Welding International, vol. 26, no. 4, pp. 275-281, 2012.
  8. M. Sheikhi, F. M. Ghaini, and H. Assadi, “Prediction of solidification cracking inpulsed laser welding of 2024 aluminum alloy,” Acta Materialia, vol. 82, pp. 491-502, 2015.
  9. J. F. Ready, Industrial applications of lasers. Elsevier, 1997.
  10. H.-Y. Wang, Y.-L. Lo, H.-C. Tran, M. M. Raza, and T.-N. Le, “Systematic approachfor reducing micro-crack formation in Inconel 713LC components fabricated bylaser powder bed fusion,” Rapid Prototyping Journal, vol. 27, no. 8, pp. 1548-1561, 2021.
  11. H.-H. Chen, Y.-L. Lo, Y.-Y. Hsu, and K.-L. Lai, “Systematic optimization of L-PBFprocessing parameters for Al alloy 6061 with YSZ nanoparticles,” Optics & LaserTechnology, vol. 167, p. 109676, 2023/12/01/ 2023, doi:https://doi.org/10.1016/j.optlastec.2023.109676.
  12. M. Kang, J. Cheon, D. H. Kam, and C. Kim, “The hot cracking susceptibilitysubjected the laser beam oscillation welding on 6XXX aluminum alloy with apartial penetration joint,” Journal of Laser Applications, vol. 33, no. 1, 2020, doi:10.2351/7.0000319.
  13. J. Han, Y. Shi, J.-c. Guo, K. Volodymyr, W.-y. Le, and F.-x. Dai, “Porosity inhibitionof aluminum alloy by power-modulated laser welding and mechanismanalysis,” Journal of Manufacturing Processes, vol. 102, pp. 827-838, 2023.
  14. V. V. Pamarthi, T. Sun, A. Das, and P. Franciosa, “Tailoring the weldmicrostructure to prevent solidification cracking in remote laser welding ofAA6005 aluminium alloys using adjustable ringmode beam,” Journal ofMaterials Research and Technology, vol. 25, pp. 7154-7168, 2023.
  15. L. Wang, M. Gao, C. Zhang, and X. Zeng, “Effect of beam oscillating pattern onweld characterization of laser welding of AA6061-T6 aluminum alloy,”Materials & Design, vol. 108, pp. 707-717, 2016.
  16. L. Cen, W. Du, M. Gong, Y. Lu, C. Zhang, and M. Gao, “Effect of high-frequencybeam oscillation on microstructures and cracks in laser cladding of Al-Cu-Mgalloys,” Surface and Coatings Technology, vol. 447, p. 128852, 2022.
  17. C. Zhang, Y. Yu, C. Chen, X. Zeng, and M. Gao, “Suppressing porosity of a laserkeyhole welded Al-6Mg alloy via beam oscillation,” Journal of MaterialsProcessing Technology, vol. 278, p. 116382, 2020.
  18. W. Ke, X. Bu, J. Oliveira, W. Xu, Z. Wang, and Z. Zeng, “Modeling and numericalstudy of keyhole-induced porosity formation in laser beam oscillating weldingof 5A06 aluminum alloy,” Optics & Laser Technology, vol. 133, p. 106540, 2021.
  19. W. Tao and S. Yang, “Weld zone porosity elimination process in remote laserwelding of AA5182-O aluminum alloy lap-joints,” Journal of MaterialsProcessing Technology, vol. 286, p. 116826, 2020.
  20. F. Fetzer, M. Sommer, R. Weber, J.-P. Weberpals, and T. Graf, “Reduction ofpores by means of laser beam oscillation during remote welding of AlMgSi,”Optics and Lasers in Engineering, vol. 108, pp. 68-77, 2018.
  21. S. Li, G. Mi, and C. Wang, “A study on laser beam oscillating weldingcharacteristics for the 5083 aluminum alloy: Morphology, microstructure andmechanical properties,” Journal of Manufacturing Processes, vol. 53, pp. 12-20,2020.
  22. M. Kang, H. N. Han, and C. Kim, “Microstructure and solidification cracksusceptibility of Al 6014 molten alloy subjected to a spatially oscillated laserbeam,” Materials, vol. 11, no. 4, p. 648, 2018.
  23. C. Hagenlocher, M. Sommer, F. Fetzer, R. Weber, and T. Graf, “Optimization ofthe solidification conditions by means of beam oscillation during laser beamwelding of aluminum,” Materials & Design, vol. 160, pp. 1178-1185, 2018.
  24. H. Cheng et al., “Processing modes in laser beam oscillating welding of Al6Cualloy,” Journal of Manufacturing Processes, vol. 68, pp. 1261-1270, 2021.
  25. M. Wu, Z. Luo, Y. Li, L. Liu, and S. Ao, “Effect of oscillation modes on weldformation and pores of laser welding in the horizontal position,” Optics & LaserTechnology, vol. 158, p. 108801, 2023.
  26. H.-C. Tran and Y.-L. Lo, “Systematic approach for determining optimalprocessing parameters to produce parts with high density in selective lasermelting proces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ManufacturingTechnology, vol. 105, pp. 4443-4460, 2019.
  27. T.-C. Huang, C.-H. Hung, and Y. Lin, “Residual stress reduction in Ti-6Al-4V partsfabricated by laser-foil-printing process,” Optics & Laser Technology, vol. 177,p. 111157, 2024.
  28. V. Dimatteo, A. Ascari, and A. Fortunato, “Continuous laser welding with spatialbeam oscillation of dissimilar thin sheet materials (Al-Cu and Cu-Al): Processoptimization and characterization,” Journal of Manufacturing Processes, vol. 44,pp. 158-165, 2019.
  29. R. Lin, H.-p. Wang, F. Lu, J. Solomon, and B. E. Carlson, “Numerical study ofkeyhole dynamics and keyhole-induced porosity formation in remote laserwelding of Al alloy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vol. 108,pp. 244-256, 2017.
  30. W.-I. Cho, S.-J. Na, C. Thomy, and F. Vollertsen, “Numerical simulation of moltenpool dynamics in high power disk laser welding,” Journal of MaterialsProcessing Technology, vol. 212, no. 1, pp. 262-275, 2012.
  31. J.-H. Cho and S.-J. Na, “Implementation of real-time multiple reflection andFresnel absorption of laser beam in keyhole,” Journal of Physics D: AppliedPhysics, vol. 39, no. 24, p. 5372, 2006.
  32. D. Wu, X. Hua, F. Li, and L. Huang, “Understanding of spatter formation in fiberlaser welding of 5083 aluminum alloy,”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Transfer, vol. 113, pp. 730-740, 2017.
  33. K.-T. Fang, R. Li, and A. Sudjianto, Design and modeling for computerexperiments. CRC press, 2005.
  34. Y.-X. Wang, C.-H. Hung, H. Pommerenke, S.-H. Wu, and T.-Y. Liu, “Fabrication ofcrack-free aluminum alloy 6061 parts using laser foil printing process,” RapidPrototyping Journal, vol. 30, no. 4, pp. 722-732, 2024.
Molten Pool

Numerical Analysis of Variable Polarity Arc Weld Pool

가변 극성 아크 용접 풀의 수치 해석

연구 배경 및 목적

문제 정의: 알루미늄 합금은 높은 열전도율, 열팽창 계수, 기공 감수성 등의 특성으로 인해 용접성이 낮은 소재이며, 산화막이 존재하여 용접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연구 목적:

  • 가변 극성 아크 용접(Variable Polarity GTAW, VP-GTAW)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 FLOW-3D를 활용하여 용융 풀의 열전달, 유동 특성 및 자유 표면 거동을 분석.
  • 직류 전극 양극(DCEP)과 음극(DCEN) 극성의 열입력 효율 차이를 규명하여, VP-GTAW 용접의 최적화 방법을 제안.

연구 방법

가변 극성 아크 용접 개요

  • VP-GTAW는 교류(A/C) 방식으로, DCEP-DCEN이 주기적으로 전환되는 용접 방법.
  • 기존 연구에서는 DCEN이 DCEP보다 높은 열입력 효율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실험에서는 DCEP가 더 높은 열입력 효율을 보임.
  • 본 연구에서는 실험과 수치 해석을 비교하여 DCEP의 열입력 효율을 정량적으로 분석.

FLOW-3D 기반 수치 모델링

  • VOF(Volume of Fluid) 기법을 사용하여 자유 표면 추적.
  • Navier-Stokes 방정식을 활용하여 용융 풀 내 유동 해석.
  • 열전달 방정식을 적용하여 온도 분포 및 응고 해석.
  • 전자기력(Lorentz Force)과 Marangoni 효과를 포함하여 용접 풀 내 유체 흐름 모델링.
  • 경계 조건:
    • 상부: 아크 열입력(Heat Input), 복사 및 대류 열손실 고려.
    • 하부 및 측면: 고정 벽 경계 조건 적용.

시뮬레이션 변수 및 분석

  • 전류 150A, 전압 16V, 주파수 100Hz로 설정.
  • DCEP 비율(15%, 30%, 45%) 변화에 따른 용접 풀 형상 및 열입력 분석.
  • 열입력 효율(η_EN, η_EP, η_rel)을 변수로 하여 용융 풀 형상 비교.

주요 결과

열입력 효율 및 용융 풀 형상 비교

  • DCEP 비율이 증가할수록 용융 풀(FZ) 면적이 증가.
  • DCEP 비율 45%일 때 가장 넓은 용융 풀 형성, 이는 높은 열입력으로 인해 깊이와 폭이 증가하기 때문.
  • Marangoni 효과에 의해 표면 장력 변화가 용융 풀의 흐름을 유도.

DCEP 및 DCEN 비교

  • DCEP의 열입력 효율이 DCEN보다 상대적으로 높음(η_rel 증가).
  • 실험 결과와 비교했을 때, 시뮬레이션 결과가 유사한 패턴을 보이며, DCEP가 DCEN보다 더 깊고 넓은 용융 풀을 형성함.
  • DCEP 비율과 용융 풀 면적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열입력 효율을 역으로 추정 가능.

결론 및 향후 연구

결론

  • Flow-3D를 활용한 VP-GTAW 시뮬레이션이 실험과 높은 정확도로 일치함을 확인.
  • DCEP의 열입력 효율이 기존 DCEN보다 높음을 입증, 이는 기존 아크 이론과 반대되는 결과이지만 실험적으로 검증됨.
  • DCEP 비율이 증가할수록 용융 풀 형상이 커지며, Marangoni 효과가 유동을 주도함.
  • 수치 해석을 통해 DCEP 열입력 효율을 실험 없이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

향후 연구 방향

  • 다양한 용접 조건(전류, 전압, 극성 비율)에 따른 추가 연구.
  • 실험 데이터와 더욱 정밀한 비교를 통한 시뮬레이션 개선.
  • 레이저 용접, 하이브리드 용접과 같은 고출력 용접 공정으로 확장 적용 가능성 탐색.

연구의 의의

이 연구는 Flow-3D를 활용하여 가변 극성 아크 용접의 열입력 효율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실험 없이 수치 해석만으로 최적의 용접 조건을 도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Reference

  1. L. W. Eastwood, Gases in Non-ferrous Metals and Alloys,American Society for Metals, Cleveland, OH (1953).
  2. J. Cho, Variable polarity plasma arc (VPPA) welding Part 1,Introduction and theoretical background, Journal of KoreanWelding and Joining Society, 30 (2012) 199-201.
  3. J. Cho, Variable polarity plasma arc (VPPA) welding Part 2,Applications and welding physics, Journal of KoreanWelding and Joining Society, 30 (2012) 291-293.
  4. H. Patte, R. Meister and R. Monroe, Cathodic cleaning andplasma arc welding of aluminum, Welding Journal, 47 (5)(1968) 226s-223s.
  5. R. Sarrafi and R. Kovacevic, Cathodic cleaning of oxidesfrom aluminum surface by variable-polarity arc, WeldingJournal, 89 (2010) 1s-10s.
  6. F. Li, Z. Yu, X. Xiao, X. Hua and Y. Wu, Research ofCathode Cleaning and Weld Formation of AC TIG Weldingof Aluminum Alloy, The 2nd East Asia Symposium onTechnology, Nara, Japan, Sep. 26-27 (2012).
  7. M. A. R. Yarmuch and B. M. Patchett, Variable AC polarityGTAW fusion behavior in 5083 aluminum, Welding Journal,86 (2007) 196s-200s.
  8. J. Cho, Weldability increase of aluminum by variablepolarity arc, Journal of Korean Welding and Joining Society,32-1 (2014) 108-111.
  9. J. Cho, J. Lee and S. Bae, Heat input analysis of variablepolarity arc welding of aluminum, International Journal of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 81 (2015) 1273-1280.
  10. J. Cho, J. Lee, S. Bae, Y. Lee, K. Park, Y. Kim and J. Lee,Theoretical background discussion on variable polarity arcwelding of aluminum, Journal of Korean Welding andJoining Society, 2 (2015) 14-17.
  11. J. Cho, An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molten pool inlaser-GMA hybride welding, Ph.D. Thesis, KAIST, Korea(2007).
  12. J. Cho, D. F. Farson, J. O. Milewski and K. J. Hollis, Weldpool flows during initial stages of keyhole formation in laserwelding, Journal of Physics D: Applied Physics, 42 (2009)175502.
  13. J. Cho and S. J. Na, Implementation of real-time multiplereflection and Fresnel absorption of laser beam in keyhole,Journal of Physics D: Applied Physics, 39 (2006) 5372-5378.
  14. J. Cho and S. J. Na, Theoretical analysis of keyhole dynamics in polarized laser drilling, Journal of Physics D: AppliedPhysics, 40 (2007) 7638-7647.
  15. J. Cho and S. J. Na,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MoltenPool in GMA-Laser Hybrid Welding, Welding Journal, 88(2009) 35s-43s.
  16. J. Cho, D. F. Farson, K. J. Hollis and J. O. Milewski,Numerical analysis of weld pool oscillation in laser welding,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29 (4)(2015) 1715-1722.
  17. Y. C. Lim, X. Yu, J. Cho, J. Sosa, D. F. Farson, S. S. Babu,S. McCracken and B. Flesner, Effect of magnetic stirring ongrain structure refinement Part 1 – Autogenous nickel alloywelds, Science and Technology of Welding and Joining, 15(2010) 583-589.
  18. Y. C. Lim, X. Yu, J. Cho, J. Sosa, D. F. Farson, S. S. Babu,S. McCracken and B. Flesner, Effect of magnetic stirring ongrain structure refinement Part 2 – Nickel alloy weldoverlays, Science and Technology of Welding and Joining,15 (2010) 400-406.
  19. C. W. Hirt and B. D. Nichols, Volume of fluid method forthe dynamics of free boundaries, Journal of ComputationalPhysics, 39 (1981) 201s-225s.
  20. R. W. Fox and A. T. McDonarld, Introduction to FluidMechanics, 4th Ed., New York: Wiley (1992).
  21. Z. Cao, Z. Yang and X. L. Chen, Three-dimensionalsimulation of transient GMA weld pool with free surface,Welding Journal, 83 (2004) 169s-176s.
  22. A. Kumar and T. Debroy, Calculation of three-dimensionalelectromagnetic force field during arc welding, Journal ofApplied Physics, 94 (2003) 1267-1277.
simulation_experimental

Molten Pool Behavior in the Tandem Submerged Arc Welding Process

이중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공정에서의 용융지 거동 분석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이중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Tandem SAW, SAW-T) 공정에서의 용융지(molten pool)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FLOW-3D® 기반의 CFD 시뮬레이션을 수행함.
  • 전류 조건 및 전극 간 간격이 용접 비드 형상 및 용융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함.
  • 실험 데이터를 CFD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여 모델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검증함.
  • 최적의 용접 공정 매개변수를 도출하여 용접 효율을 개선하고 결함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제안함.

연구 방법

  1. 용융지 수치 모델링 및 설정
    • FLOW-3D®의 유한체적법(Finite Volume Method, FVM)을 적용하여 질량, 운동량, 에너지 보존 방정식을 해석함.
    • 자유 표면 추적을 위해 VOF(Volume of Fluid) 기법을 활용함.
    • 아크 상호작용(arc interaction), 전극 간 전압 차이, 용적력(arc pressure) 등을 반영하여 실험과 유사한 모델을 구축함.
  2. FLOW-3D® 시뮬레이션 설정
    • 전극 배치 및 전류 조건을 변경하며 용융지 거동을 분석함.
    • 선도 전극(leading electrode)과 후속 전극(trailing electrode)의 전류 조합에 따라 용접 비드 형상이 어떻게 변하는지 평가함.
    • 난류 모델 적용: k-ε 및 LES(Large Eddy Simulation) 모델을 비교 분석하여 용융지 내 난류 흐름을 해석함.
  3. 실험 데이터와 비교 검증
    • 실험에서 얻은 온도 분포 및 용융지 형상 데이터를 시뮬레이션과 비교함.
    • 고속 CCD 카메라 및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용융지 거동을 기록하고, 시뮬레이션과의 차이를 분석함.
    • CFD 결과와 실제 실험 결과 간의 오차율을 측정하여 모델의 정확성을 검토함.

주요 결과

  1. 전류 조건이 용접 비드 형상에 미치는 영향
    • 선도 전극 전류가 높은 경우, 용접 비드의 침투 깊이(penetration depth)가 증가하였으며, 후속 전극 전류가 낮은 경우 용융지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짐.
    • 동일한 총 열 입력(total heat input) 조건에서도 전류 조합에 따라 용접 비드 형상이 다르게 형성됨.
    • 용융지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선도 전극에 의해 형성된 용융지가 후속 전극에 의해 확장됨.
  2. 용융 흐름 및 아크 상호작용 분석
    • 선도 전극의 높은 전류가 강한 아크 압력(arc pressure)을 유발하여 용융지를 깊게 형성함.
    • 반면, 후속 전극이 용융지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며, 비드 폭(bead width)이 증가함.
    • 후속 전극의 전압이 높을수록 용융지가 넓게 퍼지며, 전체 용접 품질이 향상됨.
  3. 시뮬레이션과 실험 비교 검증
    • FLOW-3D®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험 데이터 간 유사도가 높음.
    • 특히, 온도 분포 및 용융지 형상이 실험과 거의 일치하였으며, 용융 흐름의 주요 특성을 재현할 수 있었음.
    • 그러나, 일부 실험에서는 예상보다 낮은 침투 깊이가 관찰됨 → 이는 모델에서 고려되지 않은 금속 증발 및 표면 장력 변화 때문으로 분석됨.
  4. 최적 용접 조건 도출
    • 전극 간 최적 간격 및 전류 조합을 설정하면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
    • 선도 전극의 전류가 후속 전극보다 높을 때, 깊은 침투와 균일한 용접 비드 형성을 유도할 수 있음.
    • 후속 전극의 전압을 높여 용융지 확산을 최적화하면 용접 비드 균일성이 증가함.

결론

  • FLOW-3D® CFD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이중 SAW-T 공정에서의 용융지 거동을 성공적으로 해석함.
  • 전극 간 전류 조합이 용접 비드 형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최적의 조합을 찾는 것이 중요함.
  • 실험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결과의 높은 일치도를 확인하였으며, 일부 미세한 차이는 추가적인 모델 보정이 필요함.
  • 향후 연구에서는 금속 증발, 표면 장력 변화 등의 추가 물리 모델을 고려하여 더욱 정밀한 해석을 수행해야 함.

Reference

Cao, Z., Yang, Z., Chen, X.L., 2004. Three dimensional simulation of transient GMA weld pool with free surface. Welding Journal 6, 169s-176s.
Cho, D.W., Na, S.J., Cho, M.H., Lee, J.S., 2013a. A study on V-groove GMAW for various welding positions.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213, 1640-1652.
Cho, D.W., Song, W.H., Cho, M.H., Na, S.J., 2013b. Analysis of submerged arc welding process by threedimensional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213, 2278-2291.
Kiran, D.V., Cho, D.W., Song, W.H., Na, S.J., 2014. Arc behavior in two wire tandem submerged arc welding.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214, 1546-1556.
Cho, J.H., Na, S.J., 2009.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molten pool in GMA-laser hybrid welding. Welding Journal 88, 35s-43s.
Cho, W.I., Na, S.J., Cho, M.H., Lee, J.S., 2010. Numerical study of alloying element distribution in CO2 laser-GMA hybrid welding.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49, 792-800.
Jaidi, J., Dutta, P., 2001. Modeling of transport phenomenon in a gas metal arc welding process. Numerical Heat Transfer Part A 40, 543-562.
Kim, C.H., Zhang, W., DebRoy, T., 2003. Modeling of temperature field and solidification surface profile during gas metal arc fillet welding. Journal of Applied Physics 94, 2667-2679.
Kim, J.W., Na, S.J., 1995. A study on the effect of contact tube to workpiece distance on weld pool shape in gas metal arc welding. Welding Journal 74, 141s-152s.
Kiran, D.V., Basu, B., Shah, A.K., Mishra, S., De, A., 2010. Probing influence of welding current on weld quality in two wire tandem submerged arc welding of HSLA steel. Science and Technology of Welding and Joining 15, 111-116.
Kiran, D.V., Basu, B., Shah, A.K., Mishra, S., De, A., 2011. Three dimensional heat transfer analysis of two wire tandem submerged arc welding. ISIJ International 51, 793-798.
Kumar, S., Bhaduri, S.C., 1994.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ing of gas metal arc welding. Metallurgical and Materials Transactions B 25B, 435-441.
Mahapatra, M.M., Datta, G.L., Pradhan, B., Mandal, N.R., 2006.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to predict the effects of SAW process parameters on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angular distortions in single pass butt joints with top and bottom reinforce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ure Vessels and Piping 83, 721-729.
Pardo, E., Weckman, D.C., 1989. Prediction of weld pool and reinforcement dimensions of GMA welds using a finite element method. Metallurgical Transactions B 20B, 937-947.
Shome, M., 2007. Effect of heat-input on austenite grain size in the heat-affected zone of HSLA-100 steel.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 445, 454-460.
Tsao, K.C., Wu, C.S., 1988. Fluid flow and heat transfer in GMA weld pools. Welding Journal 3, 70s-75s.
Ushio, M., Wu, C.S., 1997. Mathematical modeling of three dimensional heat and fluid flow in a moving gas metal arc weld pool. Metallurgical and Materials Transactions B 28B, 509-+516.
Wang, Y., Tsai, H.L., 2001. Impingement of filler droplets and weld pool dynamics during gas metal arc welding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44, 2067-2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