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gura 1 – Mapa de localização da PCH Salto Paraopeba

하천 저수지 물리적 모델의 침적 과정에 대한 전산 유체 역학 모델링(CFD) 기준

Natália Melo da Silva1 1; Jorge Luis Zegarra Tarqui2,Edna Maria de Faria Viana 3

Abstract

저수지 침전은 수력 발전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주요 문제 중 하나이며 브라질에 매우 중요합니다. 브라질의 주요 에너지원은 수력발전소에서 나옵니다. 소규모 수력 발전소(SHP)는 재생 에너지의 보완적 발전을 위한 중요한 대안입니다.

이들의 설계, 건설, 운영 및 재동력을 최적화하기 위해 저수지 내 퇴적물의 유체 역학 및 이동을 연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3차원 전산유체역학 – CFD 3D 모델링은 복잡한 흐름 문제에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제안된 방법은 MG Jeceaba 자치구에 위치한 PCH Salto Paraopeba의 유체 역학 및 퇴적물 이동 현상을 재현하고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취수구의 완전한 침전으로 인해 작동이 중단되었습니다.

모델의 검증은 미나스제라이스 연방대학교의 수력학 연구 센터(CPH)에 구축된 축소된 물리적 모델의 실험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Abstract: The reservoir silting is one of the main problem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generation of hydroelectric energy and it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Brazil. The main source of energy
in Brazil comes from hydroelectric power plant. The Small Hydroelectric Power Plant (SHP) are an
important alternative for complementary generation of renewable energy.
Seeking to optimize the design, construction, operation, and repowering of these,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study the hydrodynamics and transport of sediments in their reservoirs. Threedimensional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 CFD 3D modeling i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for
complex flow problems. The proposed method aims to reproduce and evaluate the hydrodynamic and
sediment transport phenomena of the PCH Salto Paraopeba, located in the municipality of Jeceaba,
MG, which stopped working due to the complete silting up of its water intake. The validation of the
model will be done using experimental data from the reduced physical model, built at the Hydraulic
Research Center (CPH) at the Federal University of Minas Gerais.

Keywords

퇴적물 수송, 물리적 모델, 소규모 수력 발전소, Sediment transport, physical model, Small Hydroelectric Power Plant.

Figura 1 – Mapa de localização da PCH Salto Paraopeba
Figura 1 – Mapa de localização da PCH Salto Paraopeba
Figura 2 – PCH Salto Paraopeba e modelo reduzido.
Figura 2 – PCH Salto Paraopeba e modelo reduzido.

REFERÊNCIAS

ALBARELLO, L. “Guia para implantação de pequenas centrais hidrelétricas- PCHs”. Dissertação de Mestrado. Trabalho de Conclusão de Curso de Especialista. Programa de Pós-Graduação em Eficiência Energética Aplicada aos Processos Produtivos. UFSM, Panambi /RS, 2014.

ANEEL, SIGA – Sistema de Informações de Geração da ANEEL. Disponível em: . Acesso em 10 de maio de 2023.

CAMPELLO, B.S.C. “Estudo Da Velocidade de Queda e do Início do Movimento das Partículas de Borracha e Areia”. Dissertação de Mestrado. Programa de Pós-Graduação em Saneamento, Meio Ambiente e Recursos Hídricos. UFMG, Belo Horizonte /MG, 2017.

CAMPOS, A.S. “A Importância do Coeficiente de Rugosidade de Manning na Avaliação Numérica
do Assoreamento de Reservatórios A Fio D’água”. Dissertação de Mestrado. Programa de PósGraduação em Saneamento, Meio Ambiente e Recursos Hídricos. UFMG, Belo Horizonte /MG,
2018.

CARVALHO, N. O. et al. Guia de avaliação de assoreamento de reservatórios, ANEEL, Brasília,
2000.

CARVALHO, N. O. Hidrossedimentologia prática, CPRM, Rio de Janeiro, 1994.

CARVALHO, N. O. Hidrossedimentologia prática, CPRM, Rio de Janeiro, 2008.

EMIG, PCH Salto do Paraopeba. Disponível em: < https://www.cemig.com.br/usina/pch-salto-doparaopeba/>. Acesso em 12 de maio de 2023.

ELETROBRÁS; Instituto de Pesquisas Hidráulicas – IPH. Diagnóstico das Condições sedimentológicas dos Principais Rios Brasileiros. UFRGS, Rio de Janeiro, 1992.

FLOW-3D®. FLOW-3D® 2022R2 – User Manual. Disponível em: < https://users.flow3d.com/flow3d/> FORTUNA, A.O. (2000). Técnicas Computacionais para Dinâmica dos Fluidos – Conceitos Básicos e Aplicações. São Paulo – SP.

GONÇALVES, M.O. “Análise Comparativa Entre Modelo Reduzido e Modelos Computacionais Uni
e Bidimensionais”. Dissertação de Mestrado. Programa de Pós-Graduação em Engenharia de
Recursos Hídricos e Ambiental. UFRP, Curitiba/PR, 2017.

HILLEBRAND, G.; KLASSEN, I.; OLSEN, N. R. B. (2017). “3D CFD modelling of velocities and
sediment transport in the Iffezheim hydropower reservoir”. Hydrology Research 48 (1), pp. 147–159.
JULIEN, P. Y. (2010). Erosion and sedimen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2nd
edn.

MAHMOOD, K. (1987). Reservoir sedimentation – impact, extent and mitigation. World Bank Tech.
Paper No. 71. Washington, DC.

MIRANDA, R.B. “A influência do assoreamento na geração de energia hidrelétrica: estudo de caso
na Usina de Três Irmãos – SP”. Dissertação de Mestrado. Programa de Pós-Graduação em Ciências
da Engenharia Ambiental. USP, São Carlos/SP, 2011.

MOHAMMAD, M.E.; AL-ANSARI, N.; KNUTSSON, S.; LAUE, J. (2020).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of Sediment Deposition in a Storage Reservoir Subject to Water
Withdrawal”. Water, 12, 959.

OLIVEIRA, M. A.“Repotenciação de pequenas centrais hidrelétricas: Avaliação técnica e
econômica”. Dissertação de Mestrado. Programa de Pós-Graduação em Engenharia de Energia.
UNIFEI, Itajubá/MG, 2012.

SALIBA, A.P.M. Notas de aula, Modelos fundo móvel, Disciplina Introdução a Modelagem Física
em Engenharia, Universidade Federal de Minas Gerais. Belo Horizonte, 2020.

SOARES, W.S. “Taxa de Assoreamento no Reservatório da Usina Hidrelétrica do Funil, MG”.
Dissertação de Mestrado. Programa de Pós-Graduação em Tecnologias e Inovações Ambientais.
UFLA, Lavras/MG, 2015.

Numerical analysis of energy dissipator options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odeling — a case study of Mirani Dam

전산 유체 역학 모델링을 사용한 에너지 소산자 옵션의 수치적 해석 — Mirani 댐의 사례 연구

Arabian Journal of Geosciences volume 15, Article number: 1614 (2022) Cite this article

Abstract

이 연구에서 FLOW 3D 전산 유체 역학(CF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파키스탄 Mirani 댐 방수로에 대한 에너지 소산 옵션으로 미국 매립지(USBR) 유형 II 및 USBR 유형 III 유역의 성능을 추정했습니다. 3D Reynolds 평균 Navier-Stokes 방정식이 해결되었으며, 여기에는 여수로 위의 자유 표면 흐름을 캡처하기 위해 공기 유입, 밀도 평가 및 드리프트-플럭스에 대한 하위 그리드 모델이 포함되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5가지 모델을 고려하였다. 첫 번째 모델에는 길이가 39.5m인 USBR 유형 II 정수기가 있습니다. 두 번째 모델에는 길이가 44.2m인 USBR 유형 II 정수기가 있습니다. 3번째와 4 번째모델에는 길이가 각각 48.8m인 USBR 유형 II 정수조와 39.5m의 USBR 유형 III 정수조가 있습니다. 다섯 번째 모델은 네 번째 모델과 동일하지만 마찰 및 슈트 블록 높이가 0.3m 증가했습니다. 최상의 FLOW 3D 모델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메쉬 민감도 분석을 수행했으며 메쉬 크기 0.9m에서 최소 오차를 산출했습니다. 세 가지 경계 조건 세트가 테스트되었으며 최소 오류를 제공하는 세트가 사용되었습니다. 수치적 검증은 USBR 유형 II( L = 48.8m), USBR 유형 III( L = 35.5m) 및 USBR 유형 III 의 물리적 모델 에너지 소산을 0.3m 블록 단위로 비교하여 수행되었습니다( L= 35.5m). 통계 분석 결과 평균 오차는 2.5%, RMSE(제곱 평균 제곱근 오차) 지수는 3% 미만이었습니다. 수리학적 및 경제성 분석을 바탕으로 4 번째 모델이 최적화된 에너지 소산기로 밝혀졌습니다. 흡수된 에너지 백분율 측면에서 물리적 모델과 수치적 모델 간의 최대 차이는 5%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n this study, the FLOW 3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software was used to estimate the performance of the United States Bureau of Reclamation (USBR) type II and USBR type III stilling basins as energy dissipation options for the Mirani Dam spillway, Pakistan. The 3D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s were solved, which included sub-grid models for air entrainment, density evaluation, and drift–flux, to capture free-surface flow over the spillway. Five models were considered in this research. The first model has a USBR type II stilling basin with a length of 39.5 m. The second model has a USBR type II stilling basin with a length of 44.2 m. The 3rd and 4th models have a USBR type II stilling basin with a length of 48.8 m and a 39.5 m USBR type III stilling basin, respectively. The fifth model is identical to the fourth, but the friction and chute block heights have been increased by 0.3 m. To set up the best FLOW 3D model conditions, mesh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which yielded a minimum error at a mesh size of 0.9 m. Three sets of boundary conditions were tested and the set that gave the minimum error was employed. Numerical validation was done by comparing the physical model energy dissipation of USBR type II (L = 48.8 m), USBR type III (L =35.5 m), and USBR type III with 0.3-m increments in blocks (L = 35.5 m). The statistical analysis gave an average error of 2.5% and a RMSE (root mean square error) index of less than 3%. Based on hydraulics and economic analysis, the 4th model was found to be an optimized energy dissipator. The maximum difference between the physical and numerical models in terms of percentage energy absorbed was found to be less than 5%.

Keywords

  • Numerical modeling
  • Spillway
  • Hydraulic jump
  • Energy dissipation
  • FLOW 3D

References

  • Abbasi S, Fatemi S, Ghaderi A, Di Francesco S (2021) The effect of geometric parameters of the antivortex on a triangular labyrinth side weir. Water (Switzerland) 13(1). https://doi.org/10.3390/w13010014
  • Amorim JCC, Amante RCR, Barbosa VD (2015) Experimental and numerical modeling of flow in a stilling basin. Proceedings of the 36th IAHR World Congress 28 June–3 July, the Hague, the Netherlands, 1, 1–6
  • Asaram D, Deepamkar G, Singh G, Vishal K, Akshay K (2016) Energy dissipation by using different slopes of ogee spillway. Int J Eng Res Gen Sci 4(3):18–22Google Scholar 
  • Boes RM, Hager WH (2003) Hydraulic design of stepped spillways. J Hydraul Eng 129(9):671–679.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2003)129:9(671)Article Google Scholar 
  • Celik IB, Ghia U, Roache PJ, Freitas CJ, Coleman H, Raad PE (2008) Procedure for estimation and reporting of uncertainty due to discretization in CFD applications. J Fluids Eng Trans ASME 130(7):0780011–0780014. https://doi.org/10.1115/1.2960953Article Google Scholar 
  • Chen Q, Dai G, Liu H (2002) Volume of fluid model for turbulence numerical simulation of stepped spillway overflow. J Hydraul Eng 128(7):683–688. 10.1061/共ASCE兲0733-9429共2002兲128:7共683兲 CE
  • Damiron R (2015) CFD modelling of dam spillway aerator. Lund University Sweden
  • Dunlop SL, Willig IA, Paul GE (2016) Cabinet Gorge Dam spillway modifications for TDG abatement – design evolution and field performance. 6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Hydraulic Structures: Hydraulic Structures and Water System Management, ISHS 2016, 3650628160, 460–470. 10.15142/T3650628160853
  • Fleit G, Baranya S, Bihs H (2018) CFD modeling of varied flow conditions over an ogee-weir. Period Polytech Civ Eng 62(1):26–32. https://doi.org/10.3311/PPci.10821Article Google Scholar 
  • Frizell KW, Frizell KH (2015) Guidelines for hydraulic design of stepped spillways. Hydraulic Laboratory Report HL-2015-06, May
  • Ghaderi A, Abbasi S (2021)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f the effects of geometric appendance elements on energy dissipation over stepped spillway. Water (Switzerland) 13(7). https://doi.org/10.3390/w13070957
  • Ghaderi A, Dasineh M, Aristodemo F, Ghahramanzadeh A (2020) Characteristics of free and submerged hydraulic jumps over different macroroughnesses. J Hydroinform 22(6):1554–1572. https://doi.org/10.2166/HYDRO.2020.298Article Google Scholar 
  • Güven A, Mahmood AH (2021) Numerical investig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over stepped spillways. Water Sci Technol Water Supply 21(3):1344–1355. https://doi.org/10.2166/ws.2020.283Article Google Scholar 
  • Herrera-Granados O, Kostecki SW (2016) Numerical and physical modeling of water flow over the ogee weir of the new Niedów barrage. J Hydrol Hydromech 64(1):67–74. https://doi.org/10.1515/johh-2016-0013Article Google Scholar 
  • Ho DKH, Riddette KM (2010) Application of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o evaluate hydraulic performance of spillways in australia. Aust J Civ Eng 6(1):81–104. https://doi.org/10.1080/14488353.2010.11463946Article Google Scholar 
  • Kocaer Ö, Yarar A (2020)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 of flow over ogee spillway. Water Resour Manag 34(13):3949–3965. https://doi.org/10.1007/s11269-020-02558-9Article Google Scholar 
  • Kumcu SY (2017) Investigation of flow over spillway modeling and comparison between experimental data and CFD analysis. KSCE J Civ Eng 21(3):994–1003. https://doi.org/10.1007/s12205-016-1257-zArticle Google Scholar 
  • Li S, Li Q, Yang J (2019) CFD modelling of a stepped spillway with various step layouts. Math Prob Eng 2019:1–12. https://doi.org/10.1155/2019/6215739Article Google Scholar 
  • Muthukumaran N, Prince Arulraj G (2020)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augmenting the discharge over ogee spillways with nanocement. Civ Eng Archit 8(5):838–845. https://doi.org/10.13189/cea.2020.080511Article Google Scholar 
  • Naderi V, Farsadizadeh D, Lin C, Gaskin S (2019) A 3D study of an air-core vortex using HSPIV and flow visualization. Arab J Sci Eng 44(10):8573–8584. https://doi.org/10.1007/s13369-019-03764-3Article Google Scholar 
  • Nangare PB, Kote AS (2017)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an ogee stepped spillway with plain and slotted roller bucket for energy dissipation. Int J Civ Eng Technol 8(8):1549–1555Google Scholar 
  • Parsaie A, Moradinejad A, Haghiabi AH (2018) Numerical modeling of flow pattern in spillway approach channel. Jordan J Civ Eng 12(1):1–9Google Scholar 
  • Pasbani Khiavi M, Ali Ghorbani M, Yusefi M (2021)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energy dissipation process in stepped spillways using finite volume method. J Irrig Water Eng 11(4):22–37Google Scholar 
  • Peng Y, Zhang X, Yuan H, Li X, Xie C, Yang S, Bai Z (2019) Energy dissipation in stepped spillways with different horizontal face angles. Energies 12(23). https://doi.org/10.3390/en12234469
  • Raza A, Wan W, Mehmood K (2021) Stepped spillway slope effect on air entrainment and inception point location. Water (Switzerland) 13(10). https://doi.org/10.3390/w13101428
  • Reeve DE, Zuhaira AA, Karunarathna H (2019) Computational investigation of hydraulic performance variation with geometry in gabion stepped spillways. Water Sci Eng 12(1):62–72. https://doi.org/10.1016/j.wse.2019.04.002Article Google Scholar 
  • Rice CE, Kadavy KC (1996) Model study of a roller compacted concrete stepped spillway. J Hydraul Eng 122(6):292–297.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96)122:6(292)Article Google Scholar 
  • Rong Y, Zhang T, Peng L, Feng P (2019) Three-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of dam discharge and flood routing in Wudu reservoir. Water (Switzerland) 11(10). https://doi.org/10.3390/w11102157
  • Saqib N, Akbar M, Pan H, Ou G, Mohsin M, Ali A, Amin A (2022) Numerical analysis of pressure profiles and energy dissipation across stepped spillways having curved risers. Appl Sci 12(448):1–18Google Scholar 
  • Saqib N, Ansari K, Babar M (2021) Analysis of pressure profiles and energy dissipation across stepped spillways having curved treads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Intl Conf Adv Mech Eng :1–10
  • Saqib Nu, Akbar M, Huali P, Guoqiang O (2022) Numerical investigation of pressure profiles and energy dissipation across the stepped spillway having curved treads using FLOW 3D. Arab J Geosci 15(1):1363–1400. https://doi.org/10.1007/s12517-022-10505-8Article Google Scholar 
  • Sarkardeh H, Marosi M, Roshan R (2015) Stepped spillway optimization through numerical and physical modeling. Int J Energy Environ 6(6):597–606Google Scholar 
  • Serafeim A, Avgeris V, Hrissanthou V (2015) Experimental and numerical modeling of flow over a spillway. Eur Water Publ 14(2015):55–59. https://doi.org/10.15224/978-1-63248-042-2-11Article Google Scholar 
  • Sorensen RM (1986) Stepped spillway model investigation. J Hydraul Eng I(12):1461–1472. https://ascelibrary.org/doi/full/10.1061/%28ASCE%290733-
  • Tabbara M, Chatila J, Awwad R (2005) Computational simulation of flow over stepped spillways. Comput Struct 83(27):2215–2224. https://doi.org/10.1016/j.compstruc.2005.04.005Article Google Scholar 
  • Valero D, Bung DB, Crookston BM, Matos J (2016) Numerical investigation of USBR type III stilling basin performance downstream of smooth and stepped spillways. 6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Hydraulic Structures: Hydraulic Structures and Water System Management, ISHS 2016, 3406281608, 635–646. https://doi.org/10.15142/T340628160853
  • Versteeg H, Malalasekera W (1979) An introduction to computational fluid mechanics. (Vol. 2). https://doi.org/10.1016/0010-4655(80)90010-7
  • WAPDA model studies cell, IRI Lahore (2003) Mirani Dam Project hydraulic model studies for the spillway. November 2003
  • Yakhot V, Orszag S (1986) Renormalization group analysis of turbulence. I. Basic theory. J Sci Comput 1(1):3–51Article Google Scholar 
Fig 3. Front view of the ejected powder particles due to the plume movement. Powder particles are colored by their respective temperature while trajectory colors show their magnitude at 0.007 seconds.

316-L 스테인리스강의 레이저 분말 베드 융합 중 콜드 스패터 형성의 충실도 높은 수치 모델링

316-L 스테인리스강의 레이저 분말 베드 융합 중 콜드 스패터 형성의 충실도 높은 수치 모델링

M. BAYAT1,* , AND J. H. HATTEL1

  • Corresponding author
    1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DTU), Building 425, Kgs. 2800 Lyngby, Denmark

ABSTRACT

Spatter and denudation are two very well-known phenomena occurring mainly during the laser powder bed fusion process and are defined as ejection and displacement of powder particles, respectively. The main driver of this phenomenon is the formation of a vapor plume jet that is caused by the vaporization of the melt pool which is subjected to the laser beam. In this work, a 3-dimensional transient turbulent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odel coupled with a discrete element model is developed in the finite volume-based commercial software package Flow-3D AM to simulate the spatter phenomenon. Th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a localized low-pressure zone forms at the bottom side of the plume jet and this leads to a pseudo-Bernoulli effect that drags nearby powder particles into the area of influence of the vapor plume jet. As a result, the vapor plume acts like a momentum sink and therefore all nearby particles point are dragged towards this region. Furthermore, it is noted that due to the jet’s attenuation, powder particles start diverging from the central core region of the vapor plume as they move vertically upwards. It is moreover observed that only particles which are in the very central core region of the plume jet get sufficiently accelerated to depart the computational domain, while the rest of the dragged particles, especially those which undergo an early divergence from the jet axis, get stalled pretty fast as they come in contact with the resting fluid. In the last part of the work, two simulations with two different scanning speeds are carried out, where it is clearly observed that the angle between the departing powder particles and the vertical axis of the plume jet increases with increasing scanning speed.

스패터와 denudation은 주로 레이저 분말 베드 융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매우 잘 알려진 두 가지 현상으로 각각 분말 입자의 배출 및 변위로 정의됩니다.

이 현상의 주요 동인은 레이저 빔을 받는 용융 풀의 기화로 인해 발생하는 증기 기둥 제트의 형성입니다. 이 작업에서 이산 요소 모델과 결합된 3차원 과도 난류 ​​전산 유체 역학 모델은 스패터 현상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유한 체적 기반 상용 소프트웨어 패키지 Flow-3D AM에서 개발되었습니다.

수치적 결과는 플룸 제트의 바닥면에 국부적인 저압 영역이 형성되고, 이는 근처의 분말 입자를 증기 플룸 제트의 영향 영역으로 끌어들이는 의사-베르누이 효과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결과적으로 증기 기둥은 운동량 흡수원처럼 작용하므로 근처의 모든 입자 지점이 이 영역으로 끌립니다. 또한 제트의 감쇠로 인해 분말 입자가 수직으로 위쪽으로 이동할 때 증기 기둥의 중심 코어 영역에서 발산하기 시작합니다.

더욱이 플룸 제트의 가장 중심 코어 영역에 있는 입자만 계산 영역을 벗어날 만큼 충분히 가속되는 반면, 드래그된 나머지 입자, 특히 제트 축에서 초기 발산을 겪는 입자는 정체되는 것으로 관찰됩니다. 그들은 휴식 유체와 접촉하기 때문에 꽤 빠릅니다.

작업의 마지막 부분에서 두 가지 다른 스캔 속도를 가진 두 가지 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으며, 여기서 출발하는 분말 입자와 연기 제트의 수직 축 사이의 각도가 스캔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이 명확하게 관찰되었습니다.

Fig 1. Two different views of the computational domain for the fluid domain. The vapor plume is simulated by a moving momentum source with a prescribed temperature of 3000 K.
Fig 1. Two different views of the computational domain for the fluid domain. The vapor plume is simulated by a moving momentum source with a prescribed temperature of 3000 K.
Fig 2. (a) and (b) are two snapshots taken at an x-y plane parallel to the powder layer plane before and 0.008 seconds after the start of the scanning process. (c) Shows a magnified view of (b) where detailed powder particles' movement along with their velocity magnitude and directions are shown.
Fig 2. (a) and (b) are two snapshots taken at an x-y plane parallel to the powder layer plane before and 0.008 seconds after the start of the scanning process. (c) Shows a magnified view of (b) where detailed powder particles’ movement along with their velocity magnitude and directions are shown.
Fig 3. Front view of the ejected powder particles due to the plume movement. Powder particles are colored by their respective temperature while trajectory colors show their magnitude at 0.007 seconds.
Fig 3. Front view of the ejected powder particles due to the plume movement. Powder particles are colored by their respective temperature while trajectory colors show their magnitude at 0.007 seconds.

References

[1] T. DebRoy et al., “Additive manufacturing of metallic components – Process, structure
and properties,” Prog. Mater. Sci., vol. 92, pp. 112–224, 2018, doi:
10.1016/j.pmatsci.2017.10.001.
[2] M. Markl and C. Körner, “Multiscale Modeling of Powder Bed–Based Additive
Manufacturing,” Annu. Rev. Mater. Res., vol. 46, no. 1, pp. 93–123, 2016, doi:
10.1146/annurev-matsci-070115-032158.
[3] A. Zinoviev, O. Zinovieva, V. Ploshikhin, V. Romanova, and R. Balokhonov, “Evolution
of grain structure during laser additive manufacturing. Simulation by a cellular automata
method,” Mater. Des., vol. 106, pp. 321–329, 2016, doi: 10.1016/j.matdes.2016.05.125.
[4] Y. Zhang and J. Zhang, “Modeling of solidification microstructure evolution in laser
powder bed fusion fabricated 316L stainless steel using combine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d cellular automata,” Addit. Manuf., vol. 28, no. July 2018, pp. 750–765,
2019, doi: 10.1016/j.addma.2019.06.024.
[5] A. A. Martin et al., “Ultrafast dynamics of laser-metal interactions in additive
manufacturing alloys captured by in situ X-ray imaging,” Mater. Today Adv., vol. 1, p.
100002, 2019, doi: 10.1016/j.mtadv.2019.01.001.
[6] Y. C. Wu et al., “Numerical modeling of melt-pool behavior in selective laser melting
with random powder distribution and experimental validation,” J. Mater. Process.
Technol., vol. 254, no. July 2017, pp. 72–78, 2018, doi:
10.1016/j.jmatprotec.2017.11.032.
[7] W. Gao, S. Zhao, Y. Wang, Z. Zhang, F. Liu, and X. Lin, “Numerical simulation of
thermal field and Fe-based coating doped Ti,” Int. J. Heat Mass Transf., vol. 92, pp. 83–
90, 2016, doi: 10.1016/j.ijheatmasstransfer.2015.08.082.
[8] A. Charles, M. Bayat, A. Elkaseer, L. Thijs, J. H. Hattel, and S. Scholz, “Elucidation of
dross formation in laser powder bed fusion at down-facing surfaces: Phenomenonoriented multiphysics simulation and experimental validation,” Addit. Manuf., vol. 50,
2022, doi: 10.1016/j.addma.2021.102551.
[9] C. Meier, R. W. Penny, Y. Zou, J. S. Gibbs, and A. J. Hart, “Thermophysical phenomena
in metal additive manufacturing by selective laser melting: Fundamentals, modeling,
simulation and experimentation,” arXiv, 2017, doi:
10.1615/annualrevheattransfer.2018019042.
[10] W. King, A. T. Anderson, R. M. Ferencz, N. E. Hodge, C. Kamath, and S. A. Khairallah,
“Overview of modelling and simulation of metal powder bed fusion process at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Mater. Sci. Technol. (United Kingdom), vol. 31, no. 8,
pp. 957–968, 2015, doi: 10.1179/1743284714Y.0000000728.

View of King Edward Memorial Park Foreshore interception structures and approach to vortex drop shaft - Courtesy of Mott MacDonald

Thames Tideway Tunnel – East Contract – Hydraulic Modelling

수력 구조물의 수력 설계 및 모델링 경험 (Experiences in the hydraulic design and modelling of the hydraulic structures)

CFD Modelling: View of Earl Pumping Station interception structures and approach to vortex drop shaft - Courtesy of Mott MacDonald
CFD Modelling: View of Earl Pumping Station interception structures and approach to vortex drop shaft – Courtesy of Mott MacDonald

템스 타이드웨이 터널은 주로 템스 강 아래 런던 중심부를 통과하는 새로운 저장 및 이송 터널입니다. 최대 지름 7.2m의 길이약 25km에 달하는 주요 터널은 서쪽액톤에서 동쪽의 수도원 밀스까지 운행됩니다.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템스 강에 도달하기 전에 결합된 하수 흐름을 가로채고 저장하여 가장 오염이 많은 복합 하수 오버플로(CSOS)의 34개 를 제어하는 것입니다. 템스 타이드웨이 터널은 베크턴 하수 처리 작업에서 치료를 위해 흐름을 수송할 수도원 밀스의 리 터널에 연결됩니다. CSO 현장에서는 소용돌이 낙하 샤프트와 같은 가로채기 및 전환 구조물이 근처 표면 하수 네트워크에서 깊은 저장 터널로 결합된 하수 흐름을 수송합니다.

East main works

터널을 납품하는 회사인 Tideway는 프로젝트를 세 부분으로 분리했습니다. 동쪽 구간은 프로젝트의 가장 깊은 부분이며, 65m 깊이에 도달합니다. 버몬드시의 챔버 부두는 애비 밀스 (Abbey Mills)에 이르는이 5.5km 터널 섹션의 주요 드라이브 사이트입니다. 동부 개발에는 그리니치 펌핑 스테이션에서 챔버 스워프의 주요 터널까지 약 4.5km의 5m 내부 직경 연결 터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개의 드롭 샤프트가 현재 설계 및 제작 중입니다. 이들은 24-36m 3/s 범위의 설계 흐름을 가지며 차단 및 전환 구조, 터널 격리 게이트 및 플랩 밸브가 있는 밸브 챔버, 와류 발생기 입구 구조, 와류 드롭 튜브 및 에너지 소산 및 탈기 챔버를 포함한 유압 구조로 구성됩니다.

The challenge/ hydraulic modelling

이러한 새로운 구조의 설계는 수많은 엔지니어링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최대 36m3/s의 대규모 설계 유량은 기존 네트워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기존 CSO를 통해 유출되지 않고 완전히 캡처되어 터널로 안전하게 전달되어야 합니다.

또한 복잡한 흐름 패턴이 발생하는 수축된 설계와 시스템의 올바른 작동을 위해 필요하고 불리한 유체 역학 조건으로부터 보호해야 하는 기계 플랜트의 필요성을 초래하는 공간 제약이 있습니다. 또한, 소용돌이 낙하 샤프트 내부에 최대 50m까지 떨어지는 흐름에 의해 생성되는 많은 양의 에너지는 터널로 전달하기 전에 안전하게 소멸되고 유동을 제거해야합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젝트 팀은 물리적 스케일 모델링과 함께 CFD(계산 유체 역학) 모델링을 광범위하게 사용했습니다.

CFD 모델링: 얼 펌핑 스테이션 소용돌이 드롭 샤프트 및 저장 터널 의 보기 - Courtesy of Mott MacDonald
CFD 모델링: arl Pumping Station 소용돌이 드롭 샤프트 및 저장 터널 의 보기 – Courtesy of Mott MacDonald

전산 유체 역학 모델링

CFD는 초기 설계 단계에서 사용되는 주요 유압 모델링 도구로, 모든 유압 구조를 모델링하고, 설계 수정을 통합하고, 결과를 신속하게 시각화 및 분석하고, 성능을 마무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했습니다.

제안된 설계의 3D 건물 정보 모델링(BIM) 형상을 CFD 소프트웨어로 전송하여 CFD 유체 도메인에 대한 형상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줄였습니다.

FlowScience Inc에서 개발한 Flow 3D가 주요 모델링 플랫폼으로 활용되었습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공기-물 인터페이스를 추적하기 위해 유체 체적 방법을 적용하여 자유 표면 흐름을 정확하게 모델링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입방 격자를 사용한 3D 구조형 메쉬를 사용하였고, 레이놀즈평균 Navier-Stokes 접근법을 표준 k-omega 난기류 모델로 사용하여 난류를 해석하였습니다.

View of King Edward Memorial Park Foreshore interception structures and approach to vortex drop shaft - Courtesy of Mott MacDonald
View of King Edward Memorial Park Foreshore interception structures and approach to vortex drop shaft – Courtesy of Mott MacDonald

메쉬 해상도에 대한 민감도 분석이 수행되었고 계산 메쉬의 적합성에 대한 추론을 허용하기 위해 이전 개념 단계 구조의 물리적 스케일 모델링에서 사용 가능한 결과와 비교되었습니다. 와류 발생기 및 드롭 튜브의 목과 같이 급격한 기울기가 발생하는 영역의 메쉬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였습니다.

전체 메쉬 해상도와 계산 효율성 간의 균형은 설계 목적을 위해 충분히 정확하지만 설계 프로그램 목표를 충족하는 시간 척도 내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솔루션을 생성하는 데 필요했습니다.

CFD 모델이 수렴되면 결과가 시각화되었습니다. 주요 산출물에는 구조 전체에 걸친 상세한 수위, 크기와 벡터, 흐름 유선이 있는 속도 플롯이 포함되었습니다. CFD 모델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는 유동장의 거동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했으며 이러한 결과를 분석하여 설계가 어떻게 수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결론을 내릴 수 있었습니다.

View of King Edward Memorial Park Foreshore drop shaft and energy dissipation chamber - Courtesy of Mott MacDonald
View of King Edward Memorial Park Foreshore drop shaft and energy dissipation chamber – Courtesy of Mott MacDonald

물리적 스케일 유압 모델링

물리적 규모의 수력학적 모델링은 작동 조건의 전체 범위에 걸쳐 설계의 수력학적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설계 개선 사항을 알리고 테스트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위해 수력구조물의 설계가 잘 진행된 단계에서 물리적인 규모의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CFD 모델링은 이미 수행되어 설계의 전체 성능에 대한 확신을 제공했습니다. 주요 구조 부재도 MEICA 공장을 위해 크기가 조정되었고 설계 공간이 확보되었습니다.

설계 개발의 이 단계에서 물리적 모델링을 수행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물리적 모델에 필요한 주요 변경의 위험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또한 모델 테스트가 수력 구조의 최종 의도 설계를 가능한 한 가깝게 반영하도록 했습니다.

물리적 모델링을 위해 두 개의 사이트가 선택되었으며, 주로 공간 제약으로 인해 유압 구조의 설계가 더 복잡했습니다. 이러한 사이트는 다음과 같은 사이트였습니다.

  • 그리니치 펌핑 스테이션은 1:10 규모의 전체 작업 현장 모델이 건설되었습니다.
  • CSO 차단 구조의 모델이 수행된 King Edward Memorial Park 및 Foreshore는 1:10 축척으로, 드롭 샤프트 에너지 소산 및 탈기 챔버의 별도 모델은 1:12 축척으로 구축되었습니다.

모델은 실험실 시설에서 전문 하청 업체 BHR 그룹에 의해 구축 및 테스트되었습니다. 모델은 최신 디자인 BIM 모델에서 생성된 모델 도면을 사용하여 주로 퍼스펙스와 합판으로 구축되었다. 모델 시공승인을 받기 전에 도면은 실험실에서 유압 구조물의 정확한 복제본을 보장하기 위해 BIM 모델에 대한 엄격한 치수 검사를 받았습니다.

Model of King Edward Mermorial Park and Foreshore energy dissipation chamber in operation - Courtesy of Mott MacDonald & BHR Group
Model of King Edward Mermorial Park and Foreshore energy dissipation chamber in operation – Courtesy of Mott MacDonald & BHR Group

중력의 힘이 이러한 구조에서 개방 채널 유체 흐름을 지배하기 때문에 유사성을 보장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전체 규모 설계) 및 축소된 축소 모델에서 Froude 수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Froude 수의 동일성을 유지하기 위해 모델을 유속으로 작동했습니다. 규모는 또한 모든 흐름 조건에서 흐름이 완전히 난류임을 보장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커야 했으며 이는 모델의 다른 부분에서 흐름의 레이놀즈 수를 추정하여 확인했습니다.

축소된 물리적 모델에서는 모든 스케일 효과를 제거할 수 없습니다. 표면 장력은 비례하지 않기 때문에 프로토타입과 모델의 Weber 수(초기 힘과 표면 장력 사이의 비율을 나타냄)가 다르고 둘 사이의 액체 상태에 포함된 공기의 양도 다릅니다. 이것은 방법의 한계로 인식되고 이해되며 공기 동반 결과에 스케일링 계수를 적용하여 해결되었습니다.

이 모델은 작동 사례를 설정하는 미리 정의된 테스트 매트릭스에 따라 테스트를 거쳤습니다. 여기에는 다양한 흐름 사례와 저장 터널 꼬리 수위가 포함됩니다. 유량은 보정된 기기로 엄격하게 제어되었으며, 필요한 경우 모델로의 유량은 관심 영역의 유량이 유입구 조건에 의해 인위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조절되었습니다.

흐름의 동작을 관찰하고 기록했습니다.

  • 수위는 압력 태핑을 통해 또는 모델 측벽의 수직 눈금을 통해 시각적으로 기록되었습니다.
  • 플로우 패턴은 염료 추적기의 도움을 받아 시각적으로 기록되었습니다.

특히 관심의 한 측면은 소용돌이 흐름이었다. 소용돌이 발생기및 소용돌이 낙하튜브를 통한 흐름에 대한 상세한 관찰은 흐름이 안정적이고, 맥동과 도미 효과가 없는지, 그리고 흐름 범위 전반특히 관심의 한 측면은 소용돌이 흐름이었습니다. 와류 발생기 및 와류 드롭 튜브를 통한 흐름에 대한 자세한 관찰은 흐름이 안정적이고 맥동 과도 효과가 없으며 와류 흐름이 드롭 튜브에서 잘 형성되어 흐름 범위 전체에 걸쳐 안정적인 공기 코어를 유지하면서 관찰되었습니다.

(left) Physical model of Greenwich Pumping Station interception chamber flap valves in operation and (right) physical model of Greenwich PS internal structures for energy dissipation within the shaft - Courtesy of Mott MacDonald and BHR Group
(left) Physical model of Greenwich Pumping Station interception chamber flap valves in operation and (right) physical model of Greenwich PS internal structures for energy dissipation within the shaft – Courtesy of Mott MacDonald and BHR Group

와류 발생기에서 임계유량이 발생하기 때문에 확실한 수두-방전 관계가 설정되어 수위를 판독하여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와류 발생기에 대한 접근 암거에 위치한 압력 탭핑은 유속 범위에 걸쳐 수심 값을 기록하여 각 방울 구조에 대해 수두 방출 곡선을 도출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프로토타입에서 이 지점에서 수집된 레벨 신호는 흐름을 계산하고 격리 게이트를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흐름이 와류 드롭 튜브 아래로 수 미터 떨어지고 드롭 샤프트의 바닥에 있는 물 풀로 충돌할 때 공기가 물 속으로 동반됩니다. 터널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압축 공기 주머니와 저장 용량 감소 문제를 피하기 위해 드롭 샤프트에서 저장 터널로 전달되는 공기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드롭 샤프트의 베이스가 흐름의 에너지 소산 및 탈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것은 충분한 체적을 제공하도록 샤프트의 크기를 조정하고 다음과 같은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샤프트 내부 벽을 설계함으로써 달성되었습니다.

  • 플런지 풀이 형성되었습니다.
  • 샤프트의 흐름 경로/유지 시간은 가능한 한 오래 지속됩니다.
  • 샤프트 의 베이스의 특정 영역은 위쪽 흐름 경로를 촉진합니다.

이러한 조치는 떨어지는 물의 에너지가 소멸되고 공기가 가능한 한 흐름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저장 터널로 전달됩니다.

에너지 소산 및 탈기 구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드롭 샤프트에서 저장 터널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물 변위 방법으로 측정했습니다. 흐름에 혼입된 정확한 양의 공기를 보장하기 위해 모델은 와류 드롭 튜브의 전체 높이를 통합했습니다. 설계의 허용 기준에 대해 최대 기류는 최대 설계 수류의 백분율로 정의된 미리 정의된 값으로 제한되었습니다. 스케일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모델에서 허용 가능한 최대 기류량은 프로토타입에 비해 약 6배 감소했습니다.

hysical model of Greenwich PS showing energy dissipation chamber and entrance to connection tunnel - Courtesy of Mott MacDonald and BHR Group
hysical model of Greenwich PS showing energy dissipation chamber and entrance to connection tunnel – Courtesy of Mott MacDonald and BHR Group

물리적 규모 모델링은 또한 구조물을 통한 퇴적물의 이동성을 테스트했습니다. 이는 하수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예상 입자 크기 분포와 일치하도록 조정된 모의물의 양으로 모델에 투여함으로써 달성되었습니다.

모델의 설계 개선은 주로 탈기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샤프트 내부 구조의 조정, 퇴적물 이동성을 돕기 위한 벤치 및 기타 조치의 포함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러한 개선 사항은 재테스트를 통해 확인된 다음 설계에 통합되었습니다. 물리적 모델링의 데이터는 관찰된 좋은 일치와 함께 CFD 모델링의 결과와 비교되었습니다.

최종 모델링 결과는 흐름이 기존 하수 네트워크에서 전환되는 위치 근처에서 큰 난류가 발생하는 반면 차단 챔버는 이 에너지를 부분적으로 소산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기가 지정되었으며 특정 수력 설계 요소를 포함하면 문제가 있는 유압 거동이 기계 장비 근처에서 관찰되었습니다. 더 높은 유속에서 일부 공기 동반 와류는 유체의 대부분에 형성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높은 폭풍 유속의 간헐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지는 않았습니다. 결과는 또한 구조가 최대 설계 흐름을 Thames Tideway Tunnel로 전환하여 기존 보유 CSO를 통한 유출을 방지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차단실과 와류 낙하축을 연결하는 선형 연결 암거는 흐름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소용돌이 낙하 튜브의 작동은 흐름 범위에 걸쳐 안정적인 것으로 관찰되었습니다.

Conclusions

Thames Tideway Tunnel의 수력 구조물 설계에는 복잡한 3D 난류 유동 거동이 포함되며 설계 단계에서 고급 수력 모델링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CFD 모델링을 통해 제안된 설계를 테스트하고 수정할 수 있으므로 설계 흐름이 필요한 성능 매개변수 내에서 안전하게 수용됩니다.

이 프로젝트에서 CFD를 활용한 주요 이점은 비교적 짧은 시간에 수력학적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생성된 데이터의 유용성 및 시각화할 수 있는 능력이었습니다. 이는 설계를 알리고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CFD 모델링은 제한된 도시 환경 내에서 설정된 이러한 수력학적 구조를 설계하는 데 유용한 도구였습니다.

Physical Modelling – View of King Edward Memorial Park and Foreshore Energy Dissipation Chamber - Courtesy of Mott MacDonald and BHR Group
Physical Modelling – View of King Edward Memorial Park and Foreshore Energy Dissipation Chamber – Courtesy of Mott MacDonald and BHR Group

구조의 중요성으로 인해 물리적 모델링이 수행되어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CFD가 한계를 나타내는 수력 성능 측면을 추가로 연구했습니다. 물리적 모델은 이해 관계자에게 구조 내부에서 흐름이 어떻게 수행되고 있는지 정확히 보여주기 위해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또한, 모델 테스트가 대부분 최종 설계를 반영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구조물의 수력 성능에 대한 기록이 유지됩니다.

Timescale

5개 샤프트 중 4개에 대한 굴착이 진행 중이거나 완료되었으며 1차 기초 슬래브와 2차 라이닝이 올해 말 전에 샤프트에 부어질 것입니다. 주 터널인 Selina의 TBM은 2020년 터널링이 시작되어 연말에 현장으로의 마지막 여정을 시작할 것입니다.

The editor and publishers thank Ricardo Telo, Senior Hydraulic Engineer, and Tejal Shah, Senior Mechanical Engineer, both with Mott MacDonald, for providing the above article for publication.

첨부 파일

Figure 1 | Original Compound Broad Crested Weir Model (PVC cast).

복합 광대보의 방류계수 예측을 위한 실험적 해석과 CFD 해석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experimental and CFD analysis for predicting discharge coefficient of compound broad crested weir

ABSTRACT

Present study highlights the behavior of weir crest head and width parameter on the discharge coefficient of compound broad crested (CBC) weir.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odel (CFD) is validated with laboratory experimental investigations.

In the discharge analysis through broad crested weirs, the upstream head over the weir crest (h) is crucial, where the result is mainly dependent upon the weir crest length (L) in transverse direction to flow, water depth from channel bed. Currently, minimal investigations are known for CFD validations on compound broad crested weirs.

The hydraulic research for measuring discharge numerically is carried out using FLOW 3D software. The model applies renormalized group (RNG) using volume of fluid (VOF) method for improved accuracy in free surface simulations. Structured hexagonal meshes of cubic elements define discretized meshing.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umerical simulations and experimental observations confirm the performance of CBC weir for precise measurement of a wide range of discharges. Series of CFD model studies and experimental validation have led to constant range of discharg coefficients for various head over weir cres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discharge predictions is 0.999 with mean error of 0.28%.

현재 연구에서는 CBC(compound broad crested) 위어의 배출 계수에 대한 위어 볏 머리 및 너비 매개변수의 거동을 강조합니다. 전산 유체 역학 모델(CFD)은 실험실 실험 조사를 통해 검증되었습니다.

넓은 볏이 있는 둑을 통한 유출 분석에서 둑 마루의 상류 수두(h)가 중요합니다. 여기서 결과는 주로 흐름에 대한 횡 방향의 둑 마루 길이(L), 수로 바닥에서 수심에 따라 달라집니다. . 현재 복합 넓은 볏 둑에 대한 CFD 검증에 대해 최소한의 조사가 알려져 있습니다.

수압 연구는 FLOW 3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치적으로 측정합니다. 이 모델은 자유 표면 시뮬레이션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VOF(유체 체적) 방법을 사용하여 RNG(재정규화 그룹)를 적용합니다. 정육면체 요소의 구조화된 육각형 메쉬는 이산화된 메쉬를 정의합니다.

수치 시뮬레이션과 실험적 관찰의 비교 분석을 통해 광범위한 배출의 정확한 측정을 위한 CBC 둑의 성능을 확인했습니다. 일련의 CFD 모델 연구와 실험적 검증을 통해 다양한 head over weir crest에 대한 일정한 범위의 방전 계수가 나타났습니다. 방전 예측의 상관 계수는 0.999이고 평균 오차는 0.28%입니다.

Figure 1 | Original Compound Broad Crested Weir Model (PVC cast).
Figure 1 | Original Compound Broad Crested Weir Model (PVC cast).
Figure 4 | CFD Simulation for max discharge (y2 ¼ 13.557 cm, Qmax ¼ 10 lps) and min discharge (y2 ¼ 6.56 cm, Qmin ¼ 2 lps).
Figure 4 | CFD Simulation for max discharge (y2 ¼ 13.557 cm, Qmax ¼ 10 lps) and min discharge (y2 ¼ 6.56 cm, Qmin ¼ 2 lps).
Figure 5 | (a, b) Velocity profiles corresponding to max discharge (10 lps) and min discharge (2 lps).
Figure 5 | (a, b) Velocity profiles corresponding to max discharge (10 lps) and min discharge (2 lps).
Table 8 | Range of Froude number, Reynold number and Weber number
Table 8 | Range of Froude number, Reynold number and Weber number

Key words

compound weir, flow 3D, flow measurement, numerical technique, open channel

HIGHLIGHTS

• The Head-Discharge relation is established for discharge measurement using compound broad crested weir, experimentally and numerically.
• Assessment of head over weir crest for different step widths of proposed weir on discharge coefficient is executed.
• Experimental and CFD results of weir performance demonstrate good agreement between the theoretical discharges by traditional rectangular weir formulae keeping Cd constant.

CONCLUSION

  1. The head discharge relationship established for compound rectangular broad crested weir for various discharge ranges was validated by CFD technique. A three dimensional simulation software FLOW 3D was used for this purpose.
  2. Original theoretical compound weir model depicts the relative average error between discharge predictions with Flow 3D simulation as 4.96% which is found less than the predictions made by graphical interpolation technique which is 5.33%.
  3. The standard deviation in Cd parameter for CFD simulation model is less i.e. 0.0146 as compared to experimental output of 0.0502.
  4.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physical and CFD studies for modified compound weir model is high, around 0.999 with
    error in discharge predictions being 0.28% as compared to the accuracy limits of about +3–5% stated in literature so far.
  5. Discharge coefficient by experimental and CFD approach is maintained constant and equal to design input value of 0.6.
    Thus, the proposed CBC weir can be operated for various discharge ranges by maintaining constant discharge coefficients.
    Good agreement between the theoretical, experimental and CFD simulation results for obtaining discharge through compound broad crested weir ascertains the fact that CFD model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towards modeling flow through compound broad crested weir.

REFERENCES

Abd El-Hady Rady, R. M. 2011 2D 3D modeling of flow over sharp crested weirs. Journal of Applied Sciences Research 7 (12), 2495–2505.
ISSN 1819-544X.
Ackers, P., White, W. R. & Harrison, A. J. M. 1978 Weirs and Flumes for Flow Measurement. Wiley, New York.
Aydin, M. C. 2016 Investigation of a sill effect on rectangular side-weir flow by using CFD.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142 (2), 04015043.
Azimi, A. H. & Rajaratnam, N. 2009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weirs of finite crest length.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35 (12),
1081–1085.
Bijankhan, M., Di Stefano, C., Ferro, V. & Kouchakzadeh, S. 2014 New stage discharge relationship for weirs of finite crest length.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140 (3), 06013006.
Boiten, W. & Pitlo, H. R. 1982 The V- shaped broad-crested weir.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108 (2), 142–160.
Bos, M. G. 1989 Discharge Measurement Structures, 3rd edn. International Institute for Land Reclamation and Improvement, Publication 20,
Wageningen, The Netherlands.
Gogus, M., Defne, Z. & Ozkandemir, V. 2006 Broad-crested weirs with rectangular compound cross sections.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132 (3), 272–280.

Gogus, M., Al-Khatib, I. A., Atalay, A. E. & Khatib, J. I. 2016 Discharge prediction in flow measurement flumes with different downstream
transition slopes. Flow Measurement and Instrumentation 47, 28–34.
Hager, W. H. & Schwalt, M. 1994 Broad – crested weir.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120 (1), 13–25.
Harrison, A. J. M. 1967 The streamlined broad-crested weir. 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38, 657–678.
Hinge, G. A., Balkrishna, S. & Khare, K. C. 2010 Improved design of stilling basin for deficient tail water. Journal of Basic and Applied
Scientific Research 1 (1), 31–40.
Hinge, G. A., Balkrishna, S. & Khare, K. C. 2011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f compound broad crested weir. International Journal of
Fluids Engineering 3 (2), 197–202.
Horton, R. E. 1907 Weir Experiments, Coefficients, and Formulas. Dept. of the Interior, U.S. Geological Survey, Water-Supply and Irrigation
Paper 200.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Khan, L. A., Wicklein, E. A. & Teixeira, E. C. 2006 Validation of a three-dimensional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odel of a contact tank.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32 (7), 741–746.
Kindsvater, C. E. & Carter, R. W. 1959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rectangular thin-plate weirs. Paper No. 3001, Transactions,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24.
Kulin, G. & Compton, P. R. 1975 A Guide to Methods and Standards for the Measurement of Water Flow. Special Publication 421,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Kulkarni, K. H. & Hinge, G. A. 2017 Compound broad crested weir for measurement of discharge – a novel approach. In: Proceedings
International Conference Organized by Indian Society of Hydraulics – ISH HYDRO, 21–23 Dec 2017, India, pp. 678–687.
Kulkarni, K. H. & Hinge, G. A. 2020 Experimental study for measuring discharge through compound broad crested weir. Flow Measurement
Instrumentation 75, 101803. ISSN 0955-5986.
Man, C., Zhang, G., Hong, V., Zhou, S. & Feng, Y. 2019 Assessment of turbulence models on bridge-pier scour using flow-3D. World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7, 241–255. ISSN Online: 2331-4249.
Omer, B., Cihan, A. M., Emin, E. M. & Miller, C. J. 2018 Experimental and CFD analysis of circular labyrinth weirs.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144 (6), 04018007.
RangaRaju, K. G. 1981 Flow Through Open Channels. McGraw-Hill, New York.
Roushangar, K., Nouri, A., Shahnazi, S. & Azamathulla, H. M. 2021 Towards design of compound channels with minimum overall cost
through grey wolf optimization algorithm. IWA – Journal of Hydroinformatics (In – press).
Safarzadeh, A. & Mohajeri, S. H. 2018 Hydrodynamics of rectangular broad-crested porous weir.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144 (10), 04018028.
Salmasi, F., Poorescandar, S., Dalir, A. H. & Zadeh, D. F. 2012 Discharge relations for rectangular broad crested weirs.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s 17, 324–336.
Samadi, A. & Arvanaghi, H. 2014 CFD simulation of flow over contracted compound arched rectangular sharp crested weirs. International
Journal of Optimization in Civil Engineering 4 (4), 549–560.
Savage, B. M. & Johnson, M. C. 2001 Flow over ogee spillway: physical and numerical model case study.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27 (8), 640–649.
Swamee, P. K. 1988 Generalized rectangular weir equation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945–952. doi:10.1061/(ASCE),0733-9429
114:8(945).
The United States Bureau of Reclamation (USBR) 2001 Water Measurement Manual, Chapter 7 – Weir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p. 20402. Available from: http://www/usbr.gov/pmts/hydraulics_lab/pubs/wmm.
Zahiri, A. & Azamathulla, H. M. 2014 Comparison between linear genetic programming and M5 tree models to predict flow discharge in
compound channels. Neural Computing and Application 24, 413–420.

Interaction between oblique waves and arc-shaped breakwater

Interaction between oblique waves and arc-shaped breakwater: Wave action on the breakwater and wave transformation behind it

XinyuHanaShengDongaYizhiWangb
aCollege of Engineering, Ocean University of China, Qingdao, 266100, China
bShandong Harbour Engineering Group Co., Ltd., Rizhao, 276826, China

Highlights

Interaction of oblique waves and the arc-shaped breakwater was simulated.

Wave force and pressure distribution along central axis were analysed.

Arc curvature has little effect on the maximum wave force of different sections.

Overtopping-induced Hmax behind breakwater up to 0.7 times of incident wave height.

Abstract

The hydrodynamic interaction between oblique waves and an arc-shaped breakwater and the wave field behind it. A three-dimensional computational fluid dynamic model was used to simulat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oblique waves and arc-shaped breakwater. The pressure distribution and wave force in the different sections under different wave directions were measured by experiments to validate the numerical results. The pressure distribution and wave force in the arc-shaped vertical part of the breakwater along the central axis were further analysed using numerical model. The maximum positive and negative forces in each section along the central axis were compar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rc curvature exerted little effect on the maximum wave force in the different sections. The wave height behind the breakwater was obviously smaller than that at the front. With the decrease in the incident angle, the influence of diffraction on the wave field gradually decreased. Under east–southeast waves, the maximum wave height behind the breakwater caused by overtopping was approximately 0.7 times the incident-wave height.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wave period behind the breakwater, some areas with smaller periods existed, which may be caused by the overtopping flow that broke behind the breakwater.

경사파와 호 모양의 방파제와 그 뒤에 있는 파동 장 사이의 유체 역학적 상호 작용. 3 차원 전산 유체 역학 모델을 사용하여 사선 파와 호 모양의 방파제 사이의 상호 작용을 시뮬레이션했습니다.

서로 다른 파동 방향에서 서로 다른 섹션의 압력 분포와 파력은 수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을 통해 측정 되었습니다. 방파제 중심 축을 따라 호 모양의 수직 부분의 압력 분포와 파력은 수치 모델을 사용하여 추가로 분석되었습니다.

중심 축을 따라 각 섹션에서 최대 양의 힘과 음의 힘을 비교했습니다. 결과는 아크 곡률이 다른 섹션에서 최대 파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방파제 뒤의 파도 높이는 정면보다 분명히 작았습니다. 입사각이 감소함에 따라 파동 장에 대한 회절의 영향이 점차 감소했습니다.

동-남동 파 하에서 오버 탑으로 인한 방파제 뒤의 최대 파고는 입사 파고의 약 0.7 배였다. 방파제 뒤의 파동주기의 공간적 분포에는 방파제 뒤에서 파열 된 과잉 흐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더 작은주기를 가진 일부 지역이 존재했습니다.

Keywords

Arc-shaped breakwater3D numerical modelWave forcePressure distributionWave height and period behind breakwater

Figures -Interaction between oblique waves and arc-shaped breakwater
Figures -Interaction between oblique waves and arc-shaped breakwater
Figures-Interaction between oblique waves and arc-shaped breakwater2
Figures-Interaction between oblique waves and arc-shaped breakwater2

Recommended articles

Figure 5.6 Experimental set-up equipped with high-speed camera system

COMPUTATIONAL FLUID DYNAMIC MODELLING OF LASER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AND EFFECT OF GRAVITY

전산 유체 역학 레이저 첨가제 모델링 제조 공정 및 중력의 영향

A thesis submitted to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PhD)
In the Faculty of Science and Engineering
2017
Heng Gu
School of Mechanical, Aerospace and Civil
Engineering

레이저 적층 제조 (LAM)는 재료를 층별로 선택적으로 추가하여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재료를 융합하거나 응고시키는 3D 부품을 형성하는 것을 기반으로 합니다.

LAM 공정을 조사하는 데 상당한 양의 작업을 할 수 있지만 다른 재료 성장 방향에서 중력 및 동적 유체 흐름 특성의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습니다.

레이저 제조 기술의 발전과 함께 LAM은 실린더 본체, 터빈 블레이드의 표면 클래딩, 해양 드릴링 헤드, 다양한 증착 방향이 일반적으로 필요한 슬리브 및 몰드의 측벽을 비롯한 다양한 환경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공간 적층 제조의 경우 운영 환경이 매우 낮거나 무중력을 경험하게 됩니다.

LAM 프로세스를 모델링하기 위한 수치적 방법 개발에 대한 이전 연구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러나 이전 모델링 작업의 대부분은 자유 표면 형성을 고려하지 않고 용융 풀 역학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몇 가지 조사에만 동적 유동 용융 풀에 대한 재료 추가 분석이 포함됩니다.

다양한 재료 증착 방향 및 무중력 효과에서 수행 할 때 모든 복잡한 기능을 사용하여 증착 프로세스를 시뮬레이션하고 중력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는 작업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재료 추가, 표면 장력, 용융 및 응고, 중력, 온도 의존 재료 속성, 자유 표면 형성 및 이동을 포함한 복합 공정 요인을 고려한 LAM 공정을 위해 3 차원 과도 전산 유체 역학 모델이 ​​구축되었습니다. 열원. 레이저 금속 증착 공정에 대한 더 나은 이해는 수치적으로 그리고 실험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 연구는 단일 레이어의 증착, 여러 인접 패스 및 돌출 된 피쳐가 있는 완전한 3 차원 형상을 다루었습니다. 증착 공정 중 다양한 증착 방향과 무중력 및 매우 낮은 중력에 대한 중력의 영향을 조사하고 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정 매개 변수를 최적화 했습니다.

이 연구는 또한 층별 재료 추가를 기반으로 레이저 좁은 갭 용접 공정의 기본 현상과 용접 공정이 다른 방향으로 수행 될 때 중력이 홈 내부의 용융 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까지 확장되었습니다.

용융 풀 개발 이력 및 온도 분포를 분석하여 공정 중에 표면 장력 계수의 영향을 논의했습니다. 현재 모델의 도움으로 증착 불균일성, 증착 양단의 돌출부, 경사, 융착 부족, 계단 효과, 표면 파형, 중력 변화로 인한 붕괴 등 다양한 결함을 설명 하였습니다.

이러한 모든 결함을 제거하기 위한 해당 솔루션이 제시되었습니다. 무중력 레이저 적층 제조에 대한 연구는 이전에 보고되지 않았던 몇 가지 새로운 현상을 발견하여 우주에서 미래의 레이저 3D 프린팅을 위한 길을 닦았습니다.

Figure 1.1 Diagram for thesis structure
Figure 1.1 Diagram for thesis structure
Figure 2.1 Basic construction of a laser system [8]
Figure 2.1 Basic construction of a laser system [8]
Figure 2.3 Schematic of a diode laser system [12]
Figure 2.3 Schematic of a diode laser system [12]
Figure 2.4 Principle of a cladding pumped fibre laser [13]
Figure 2.4 Principle of a cladding pumped fibre laser [13]
Figure 2.5 Concept of a thin disk laser [14]
Figure 2.5 Concept of a thin disk laser [14]
Figure 2.7 Lateral powder injection [12]
Figure 2.7 Lateral powder injection [12]
Figure 2.9 Laser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wire, (a) front feeding, (b) rear feeding,  wire placed at (c) leading edge, (d) centre and (e) trailing edge of melt pool [23, 24]
Figure 2.9 Laser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wire, (a) front feeding, (b) rear feeding, wire placed at (c) leading edge, (d) centre and (e) trailing edge of melt pool [23, 24]
Figure 2.20 Bead geometry at the beginning of the deposition with different surface  tension gradient (a) Negative, (b) positive, (c) Mixed [85]
Figure 2.20 Bead geometry at the beginning of the deposition with different surface tension gradient (a) Negative, (b) positive, (c) Mixed [85]
Figure 2.22 Simulation of humping effect in high-speed gas tungsten arc welding [91]
Figure 2.22 Simulation of humping effect in high-speed gas tungsten arc welding [91]
Figure 2.25 (a) Melt pool shape formed by Marangoni stress only, (b) Melt pool shape  formed by gravity force only, (c) Melt shap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ose two  forces together [122]
Figure 2.25 (a) Melt pool shape formed by Marangoni stress only, (b) Melt pool shape formed by gravity force only, (c) Melt shap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ose two forces together [122]
Figure 2.27 Growth rate and temperature gradient on solidification boundary with  different melt pool shape [120]
Figure 2.27 Growth rate and temperature gradient on solidification boundary with different melt pool shape [120]
Figure 2.29 Two different methods to produce overhang structures[136]
Figure 2.29 Two different methods to produce overhang structures[136]
Figure 2.30 Contact angle of a water droplet adhering on a glass window [142]
Figure 2.30 Contact angle of a water droplet adhering on a glass window [142]
Figure 2.31 Stress components of a single track laser deposition (a) x-direction, (b) ydirection, (c) z-direction, (d) von Mises equivalent stress [151]
Figure 2.31 Stress components of a single track laser deposition (a) x-direction, (b) ydirection, (c) z-direction, (d) von Mises equivalent stress [151]
Figure 2.32 Phase fraction of martensite during laser metal deposition [160]
Figure 2.32 Phase fraction of martensite during laser metal deposition [160]
Figure 4.15 Development of melt pool and velocity field 0.588 s, 1.2 s, 1.896 s, 2.4 s
Figure 4.15 Development of melt pool and velocity field 0.588 s, 1.2 s, 1.896 s, 2.4 s
Figure 4.33 Two methods to print C, (A) raster (B) offset out
Figure 4.33 Two methods to print C, (A) raster (B) offset out
Figure 5.4(a) Cavitar laser illumination system (b) High-speed camera in horizontal  position
Figure 5.4(a) Cavitar laser illumination system (b) High-speed camera in horizontal position
Figure 5.5 Schematic diagrams of wire laser deposition process (a) flat (b) vertical
Figure 5.5 Schematic diagrams of wire laser deposition process (a) flat (b) vertical
Figure 5.6 Experimental set-up equipped with high-speed camera system
Figure 5.6 Experimental set-up equipped with high-speed camera system
Figure 5.7 2-layer deposition result and cross-section (a) top view, (b) experimental  cross section, (c) cross-section of modelling result
Figure 5.7 2-layer deposition result and cross-section (a) top view, (b) experimental cross section, (c) cross-section of modelling result
Figure 5.13 Temperature and melt pool-velocity field history for case 8, (a&f:0.36 s,  b&g:1.44 s, c&h:1.80 s, d&i:1.908 s, e&j:2.196 s)
Figure 5.13 Temperature and melt pool-velocity field history for case 8, (a&f:0.36 s, b&g:1.44 s, c&h:1.80 s, d&i:1.908 s, e&j:2.196 s)
Figure 5.16 Comparison of melt pool evolution for cases with big and small spot size
Figure 5.16 Comparison of melt pool evolution for cases with big and small spot size
Figure 6.27 (a,b,c) before re-melting, (d,e,f) after re-melting
Figure 6.27 (a,b,c) before re-melting, (d,e,f) after re-melting

6.5 Conclusion

좁은 갭 용접 공정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는 3 차원 모델이 구축되었습니다. 용접 비드와 측벽 사이의 융합 현상이 없는 것은 필러 재료와 측벽을 녹일 수 있는 충분한 에너지를 제공 할 수 없는 낮은 열 입력으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

증가된 레이저 출력을 적용하거나 재 용융 패스를 수행 한 후 더 나은 표면 품질을 얻을 수 있고 측벽과의 융합 부족을 제거 할 수 있습니다. 용접 비드의 모양이 볼록한 모양에서 오목한 모양으로 바뀌고 측면 벽과의 좋은 젖음이 실현 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위치에서 좁은 틈새 용접에 대한 중력의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용융 풀 전면의 경사 모양은 중력의 영향으로 다르게 나타납니다.

반면, 홈이 없는 기판의 증착 공정과 비교할 때 대부분의 열을 전달하는데 도움이 되는 측벽의 존재로 인해 중력의 영향이 감소했습니다.

마지막 패스 중에 중력은 일부 평평하지 않은 위치에서 심각한 낙하 및 붕괴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것은 표면에 더 큰 용융 풀이 형성되어 중력과 표면 장력 사이의 균형이 깨졌기 때문입니다. 수직 업 위치에서 좁은 간격 용접 공정 동안 다른 중력 수준이 적용되었습니다.

용접 비드와 측벽 사이의 융합 부족은 중력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관찰 될 수 있습니다. 중력이 증가하면 용융 풀의 뒤쪽 영역으로 더 많은 액체 재료가 이동하여 더 심각한 물방울과 볼록한 모양의 용접 비드가 발생합니다.

용융 풀 개발 이력의 도움으로 용접 비드가 더 이상 그루브에 있지 않거나 측벽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적을 때 전도를 통해 더 적은 열이 방출 될 수 있기 때문에 용융 풀 부피가 크게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좁은 간격 용접 공정에 대한 표면 장력 계수의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양의 표면 장력 계수를 적용하면 용접 비드가 홈 내부에서 덜 오목한 것처럼 보였고 측벽의 습윤 조건이 음의 ∂γ / ∂T 조건의 경우만큼 좋지 않았습니다.

측벽이 없으면 용접 비드는 표면의 마지막 패스 동안 음의 계수와 양의 계수 케이스 사이에 더 많은 차이를 보여줍니다. 표면 장력 계수는 홈 내부의 측벽과의 융합 상태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두꺼운 부분의 좁은 틈새 용접 중에 여러 번 통과하는 용접 비드 개발이 조사되었습니다. 비드 모양은 열 축적으로 인해 더 많은 패스가 증착 될수록 더 오목 해집니다. 패스 간의 융합 부족은 때때로 다음 패스의 재 용융 공정을 통해 제거 될 수 있습니다. 이종 재료를 사용한 좁은 틈새 용접 프로세스가 성공적으로 시뮬레이션되었습니다.

중심선을 따라 용융 풀과 용접 비드의 비대칭 형성은 재료 열 특성의 차이에 기인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측벽과의 융합 부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비드 비대칭 문제는 수평 위치에서 용접 공정을 수행하거나 총 열 입력을 증가시켜 열전도율이 높은 측벽을 녹이는 방식으로 피할 수 있습니다. 재 용융 공정은 표면 품질을 향상시키고 모재와의 융착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용접된 표면에 적용 할 때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Plate 1.1: Overall view of infiltration rig with permeable pavement

Modular Permeable Pavements | 모듈식 투과성 포장

이 기사는 Mohd Aminur Rashid ( UNITEN ), Prof Ismail Abustan (USM) 및 Prof Meor Othman Hamzah ( USM ) 가 기고했습니다.

모듈 식 투과성 포장은 전통적인 불 침투성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포장의 대안입니다. 물이 표면을 통해 빠르게 침투 할 수있는 능력 때문에 모듈 식 투과성 포장은 유출량과 최고 유출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 모듈 식 투과성 포장 도로는 우수 제어를 돕는 효과적인 도구로 간주됩니다. 이 연구는  실험실 및 현장 실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FLOW-3D 를 사용하여 투과성 포장의 변화를 모델링하고 시각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실험 설정

Plate 1.1: Overall view of infiltration rig with permeable pavement
Plate 1.1: Overall view of infiltration rig with permeable pavement
Plate 1.2: Physical model of the permeable pavement in laboratory
Plate 1.2: Physical model of the permeable pavement in laboratory

투과성 포장의 물리적 모델은 폭 525mm, 길이 565mm 인 모델의 전면보기를 위해 3면 20mm 두께의 PVC와 20mm 두께의 Perspex로 만들어진 Plate 1.2와 같이 수직 직사각형 수로에 배치되었습니다. 이 투과성 포장 도로에는 그림 1.1과 같이 표층 두께 110mm, 자갈 바닥 두께 300mm, 부기 층 두께 200mm의 세 가지 레이어가 있습니다. 서브베이스 레이어는 200mm 깊이까지 두 ​​개의 HMPS 레이어를 리그에 추가하여 구성되었습니다. 부기 층이 완성 된 후, 침투 리그에 15mm에서 20mm 크기의 세척 된 깨끗한 입방체 골재를 첨가하여 자갈 기저층을 시공 하였다. HMPS의 표면층은 5mm 깨끗한 입방체 골재가있는 PVC의 육각 기둥으로 구성됩니다.


그림 1.1 : 경계 조건 구성
Figure 1.1: Configuration of boundary conditions
Figure 1.1: Configuration of boundary conditions

모델 검증

모델은 20L / m, 15L / m, 10L / m, 5L / m의 유속에 대한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실험실 데이터를 비교하여 검증되었습니다. 데이터는 시간 함수로서 포장 층 하단의 유체 축적 높이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FLOW-3D 의 짧은 런타임 때문에 선택되었습니다  . 그림 1.2는 20L / m 실험에서 관찰 된 결과와 계산 된 결과를 비교 한 것입니다. 관찰 시간과 계산 시간의 차이는 약 5 초로 매우 작습니다. 이것은 육각형 모듈 포장 시스템의 계산 모델, HMPS 및이 FLOW-3D 를 실행하는 데 사용 된 모든 데이터를 확인했습니다.  시뮬레이션은 실험실 조건과 일치했습니다. 15L / m에 대해 관찰 된 데이터와 계산 된 데이터 간의 비교가 그림 1.3에 나와 있습니다. 그래프는 동일한 추세선과 약 5 초의 차이도 보여줍니다. 그림 1.4는 10L / m에 대해 계산 된 데이터와 관찰 된 데이터 간의 비교 그래프를 보여줍니다. 이 사례는 시뮬레이션 된 데이터와 관찰 된 데이터에 대해 약 5 초 더 많은 것을 제외하고는 완전히 일치 함을 보여줍니다. 시뮬레이션 및 관찰 된 데이터는 차이가 5 초 미만인 5L / m 케이스에 대해 그림 1.5에 플롯되었습니다.

Comparison between observed and computed data
Figure 1.2: Comparison between observed and computed data on 20L/m
Figure 1.3: Comparison between observed and computed data on 15L/m
Figure 1.4: Comparison between observed and computed data on 10L/m
Figure 1.5: Comparison between observed and computed data on 5L/m

층 두께의 영향

시뮬레이션된 각 사례의 경우 속도 필드는 비슷하지만 FORD™ 방법이 형상을 해석하는 방식으로 차이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그물이 너무 거칠어서 PVC 육각형 기둥의 벽을 해결할 수 없을 경우 벽 내부와 외부 사이에 액체가 누출될 수 있습니다. 결과는 그림 1.9의 압력이 가장 거친 메시의 솔루션과 다른 두 메시의 메시 독립적 솔루션 사이에 뚜렷한 차이와 함께 서로 상당히 잘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특히, 수면과 침대의 차이는 기하와 수면의 위치를 근사한 그물에 의해 발생하며, 이는 흐름장 내 세포의 0이 아닌 속도와 Fi와 같이 장애물 내 또는 수면 위 인접 세포의 0 속도 사이의 보간 차이를 초래합니다.1.10, 1.11 및 1.12입니다. 더 미세한 메시를 사용하여 불일치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Figure 1.6: Surface pavements of HMPS in FLOW-3D simulation
Figure 1.7: Effect of thickness of surface pavement on fraction of fluid
Figure 1.8: Effect of thickness of surface pavement on volume of fluid

시뮬레이션 된 각 경우에 대해 속도 필드는 비슷하지만 FAVOR ™ 방법이 형상을 해석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관찰 될 수 있습니다. 메쉬가 너무 거칠어 서 PVC 육각 기둥의 벽을 해결할 수없는 경우 벽 내부와 외부 사이에 유체 누출이있을 수 있습니다. 결과는 그림 1.9의 압력이 가장 거친 메쉬의 솔루션과 다른 두 메쉬의 메쉬 독립 솔루션 사이에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수면과 수면의 차이는 기하학과 수면의 위치를 ​​근사하는 메쉬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는 그림 1.10, 1.11 및 1.12에서와 같이 유동장에서 세포의 0이 아닌 속도와 장애물 내부 또는 수면 위의 인접한 세포의 속도가 0이 아닌 사이의 보간 차이를 초래합니다. 더 미세한 메시를 사용하여 불일치를 최소화해야합니다.

2D different thickness of surface pavement
Figure 1.9: Pressure fields for the 2D different thickness of surface pavement
Figure 1.10: Velocity fields for the 2D different thickness of surface pavement
Figure 1.11: Pressure fields for the 2D different thickness of surface pavement
Figure 1.12: Velocity fields in the z-direction for the 2D different thickness of surface pavement

결론

수행 된 테스트의 범위에서 FLOW-3D는 모듈식 포장 도로, HMPS의 흐름을 적절하게 모델링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결과는 또한 복잡한 2D 흐름이 항상 적절하게 모델링 되었음을 나타냅니다. 특히 물 표면 프로필을 물리적 모델의 프로필과 비교할 때 더욱 그렇습니다. 이는 동일한 운영 상황에서 실험 결과와 모델 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이 연구의 세 번째 목표에 부합합니다. 또한 시뮬레이션은 대체 다공성 매체 모델 또는 축척 또는 프로토타입 치수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 연구는  FLOW-3D가 포장 구조를 통과하는 흐름의 일반적인 특성을 모델링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발전되었습니다. 더 자세한 연구를 위해서는 더 강력한 컴퓨터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결과는 이 특정 경우에 유효하며 다른 디자인을 연구 할 때 지침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를 통해 포장 구조가 통합 유압 시스템으로 작동함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의 성능은 시스템 내의 모든 구성 요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본 연구의 다음 단계는 본 연구에서 제시 한 분석 방법을 기반으로 단순화된 모델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전산 유체 역학 모델에 사용 된 재료 특성의 추정을 개선하려면 토양 물 특성 곡선에 대해 더 많은 실험실 테스트를 수행해야 합니다.

Figure 1. Alaska requires minimum water depth for fish passage to be 2.5 times the height of the caudal fin (D) (Hotchkiss and Frei 2007).

EFECTS OF HYDRAULIC STRUCTURES ON FISH PASSAGE: AN EVALUATION OF 2D VS 3D HYDRAULIC ANALYSIS METHODS

물고기 통로 유압 구조효과 :2D VS 3D 유압 분석 방법의 평가

ABSTRACT

채널 스패닝 유압 구조물은 상류 물고기 이동에 대한 장벽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종단 적 서식지 연결의 중단과 관련된 부정적인 결과는 정확하고 실행 가능한 평가 기술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3 차원 평가 방법은 인스트림 구조에서 복잡한 흐름을 해결하고 물고기 움직임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3 차원 모델링은 시간과 리소스 요구 사항으로 인해 비실용적 일 수 있습니다.

이 연구는 2 차원 전산 유체 역학 모델과 통계 분석을 사용하여 콜로라도 주 리옹에있는 화이트 워터 공원 구조의 수력 조건을 설명하는 것을 조사합니다. 물고기의 움직임 관찰은 잠재적 인 수영 경로를 나타내는 공간적으로 명시적이고 연속적인 경로를 따라 결과 수력 변수와 쌍을 이룹니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은 흐름 깊이와 속도가 어류 통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결합 된 깊이 및 속도 변수무지개 송어 (92 %를 정확하게 예측Oncorhynchus mykiss) 및 갈색 송어 (Salmo trutta)는 이 유압 구조에서) 움직임 관찰을 합니다.

이 연구의 결과는 2 차원 분석 방법이 3 차원 분석이 불가능한 경우 유사한 수력 학적 구조가 어류 통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비용 효율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또한,이 연구의 결론은 비교적 낮은 수영 성능을 가진 송어와 물고기 모두에 대한 관리 및 설계 결정을 안내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서문

수력 구조물은 수생 생물의 종 방향 서식지 연결을 의도적으로든 우연히든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습니다. 의도적 장벽은 일반적으로 침입성 종의 도입 또는 교잡을 방지하기 위해 관리자에 의해 배치됩니다 (Holthe et al. 2005; Fausch et al. 2006). 그러나 구조물을 설계하고 설치할 때 물고기 통행 촉진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장벽이 더 자주 생성됩니다. 따라서 인위적 장애로 인해 전 세계 수로가 분열되었습니다 (Williams et al. 2012). 철새 어종의 성공적인 수명주기를 위해서는 종단 서식지 연결이 필수적입니다 (Schlosser and Angermeier 1995). 상류 이동에 대한 지연 또는 종료는 인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생태계 기능을 방해 할 수 있습니다 (Beechie et al. 2010). 

수로를 가로 지르는 수력 구조물은 어류 통행에 미치는 영향을 철저히 평가하지 않고 하천과 강에 계속 배치됩니다 (Cada 1998; Noonan et al. 2012). 그러나 강 조각화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설계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물고기 통과 문제가 해결되는 방식에서 패러다임 전환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Katopodis and Williams 2012). 비 연어 종은 경제적 가치가 높은 종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지만, 칼륨 종의 상류 이동 요구가 점점 더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습니다 (Santos et al. 2012; Silva et al 2012) (Katopodis 2005; Roscoe and Hinch 2010). . 천연 자원 관리자는 제안 된 수력 구조물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고 허용하도록 자주 요청받으며 (Kondratieff 2015),이 검토 과정에서 엔지니어와 과학자는 설계에 대한 예상 어류 통과 성능에 대한 모델 기반 증거를 제공하도록 요청받을 수 있습니다. 어류 통행과 관련하여 기존의 수력 구조물을 평가하고 우선 순위를 정하는 여러 방법이 현재 사용 가능하지만 (Kemp et al. 2010), 이전에 이 중요한 지점에서 제안된 구조물의 통행 효율성을 평가할 수있는 정확하고 실행 가능한 승인 및 설치 도구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요구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춘 이전 작업은 3D 수력 모델링 기술이 상류 어류 이동을 평가할 목적으로 채널 스패닝 구조의 복잡한 유체 역학을 적절하게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Stephens 2014).

이러한 새로운 3D 분석 방법은 전체 예측 정확도가 80 % 이상 (Stephens 2014)으로 매우 효과적 일 수 있지만 3D CFD (전산 유체 역학) 모델을 개발하는 데는 시간과 리소스가 많이 사용됩니다.

추가 데이터 수집,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모델링 전문 지식 등에 대한 필요성은 많은 하천 관리 결정에 3D 분석을 비실용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다양한 2D 모델 플랫폼이 홍수 배출을 추정하고 (Horritt and Bates 2002; Merwade et al. 2008) 인스 트림 평가에 광범위하게 사용 되었기 때문에 실무 엔지니어와 과학자는 대부분의 수력 구조물 프로젝트에서 2D 수력 모델링을 수행 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물고기 서식지 (Clark et al. 2008; Katopodis 2012). 2D 및 3D 유압 모델의 실제 비교가보고되었지만 (Lane et al. 1999; Shen and Diplas 2008; Kolden 2013), 어류 통과에 대한 2D 및 3D 모델 기반 평가의 효능을 조사한 연구는 현재에서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목표

천연 자원 관리자와 설계 엔지니어가 Stephens (2014)의 매우 효과적인 3D 방법에 더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하기 위해이 연구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있는 산업 표준 2D CFD 모델 인 River2D (Steffler and Blackburn 2002)를 사용하여 타당성을 조사합니다. 수력 구조가 어류 통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합니다.

유사한 접근 방식을 기반으로하고 이전의 수력 학 및 어류 이동 데이터 세트 (Fox 2013, Kolden 2013, Stephens 2014)를 사용하여 이 2 개의 연구는 2D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St. Vrain River의 WWP (화이트 워터 파크) 구조를 평가합니다. Lyons, CO.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WWP 구조에서 복잡한 유압 환경을 설명하는 2D CFD 모델을 개발합니다. 

2.이 2D CFD 모델의 결과를 사용하여 WWP 구조를 통해 잠재적 인 물고기 이동 경로를 따라 연속적이고 공간적으로 명시적인 수력 학적 설명을 생성합니다. 

3. 무지개 송어 (대해 사용 가능한 어류 이동 데이터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수리적 변수를 결정Oncorhynchus mykiss) 및 갈색 송어 (Salmo trutta)에합니다. 

4. 이전에 개발 된 3D 접근 방식 (Stephens 2014)의 PIT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 태그 연구의 움직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예측 평가 능력을이 연구의 2D 접근 방식과 비교합니다. 

5. 어류 통행의 관점에서 수력 구조물에 대한 비용 효율적인 평가를 통해 천연 자원 관리자 및 설계자를 지원하기위한 권장 사항을 제공합니다.

배경

상류 어류 이동에 대한 장벽은 유속 깊이, 유속 또는 유속과 거리의 조합을 포함한 다양한 물리적 조건에 의해 생성 될 수 있습니다 (Coffman 2005; Cahoon et al. 2005). 깊이 장벽은 일반적으로 흐름 깊이가 너무 얕아 통과 시도를 허용하지 않을 때 생성됩니다.

깊이 장벽은 또한 자리 잡은 구조물의 낙하 높이 및 플런지 풀 깊이가 도약 제약으로 인해 통과를 허용하지 않을 때 존재할 수 있습니다. 유속이 구조물을 통과하려는 물고기의 수영 능력을 초과 할 때 속도 장벽이 생성되어 상류 진행을 방해합니다. 수력 구조물에 의해 생성 된 난류는 물고기의 통과에도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조건에 따라 난류는 물고기 수영에 긍정적 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미칠 수 있습니다 (Liao 2007; Cotel and Webb 2012; Lacey et al. 2012).  

수영 성능 지표는 종종 기존의 수력 학적 구조가 물고기 통행의 장벽으로 작용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메트릭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달리기 속도라고도 하는 버스트 수영 속도와 지구력 곡선입니다 (Castro-Santos et al. 2013).

물고기는 지속, 연장, 파열의 세 가지 수영 모드를 나타냅니다 (Peake et al. 1997). 지속적인 수영은 이론적으로 무한정 유지 될 수 있지만 장시간 및 버스트 수영 속도는 제한된 시간 동안만 유지 될 수 있습니다.

지구력 곡선은 세 가지 수영 모드 (Videler and Wardle 1991)에 걸쳐 연속적으로 수영 속도와 피로 시간 사이의 역 관계를 설명하여 생성됩니다. 버스트 수영 속도는 속도 장벽을 식별 할 때 유용하며 (Haro et al. 2004) 지구력 곡선은 잠재적 인 완전 장벽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Castro-Santos et al. 2013). 현재 물고기 수영 성능과 난류 임계 값 또는 분포 사이의 물리적 관계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Liao 2007).

그러나 총 운동 에너지 (TKE), 총 수력 변형, 레이놀즈 전단 응력 및 와도와 같은 일부 프록시 변수는 난류가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 할 때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Nestler et al. 2008; Cotel and Webb 2012; Lacey et al. 2012; Silva et al. 2012). 

장벽은 완전 할 수 있으며, 물고기 통행을 허용하지 않거나 선택적 통행 성공이 생리적 또는 수리적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 부분적 일 수 있습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총 시도 횟수에 대한 성공적인 통과 횟수를 기반으로 한 인구 수준의 통과 효율을 사용하여 유압 구조로 인한 상류 이동 억제 정도를 정량화합니다 (Haro et al. 2004). 다양한 방법 개발되었습니다. 

장벽이 물고기 통로 (켐프와 O’Hanley 2010)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을 정량화하기 위해  한 가지 접근 방식은 통계 모델을 사용하여 통과 효율 추정치를 0 ~ 100 %의 연속 척도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규칙 기반 또는 회귀 기법을 사용하여 암거 (Coffman 2005; Burford et al. 2009), 도로 횡단 (Warren and Pardew 1998) 또는 수로 실험 설정 (Haro et al. 2004)을 다양한 성공으로 평가했습니다.

통계적 방법은 다양한 척도에서 수리적 변수에 대한 정보를 결합하여 통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식별 할 수 있습니다 (Kemp and O’Hanley 2010). 이러한 모델은 현장 기반 어류 이동 관찰을 사용하여 검증 할 수도 있습니다 (Coffman 2005; Burford 2009).

2014 년에 Stephens는 3D CFD 모델 출력 (Kolden 2013)을 활용하여 수력 구조물에서 물고기 통과를 평가하기위한 연속적이고 공간적으로 명시적인 분석 방법을 만드는 새로운 통계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이 방법은 콜로라도에있는 3 개의 파도 생성, 인공 화이트 워터 파크 (WWP) 구조물에서 수집 한 수력 측정 및 PIT 태그 통과 관찰 (Fox 2013)을 통해 검증되었습니다. 통계 결과에 따르면 Stephens (2014) 방법은 전체 정확도가 80 % 이상인 통과 효율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Stephens는 3D CFD 모델의 결과를 사용했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2D CFD 모델을 사용하여 물고기와 관련된 규모의 복잡한 흐름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 었습니다 (Lane et al. 1999; Crowder and Diplas 2000; Shen and Diplas 2008). 2D CFD 모델링의 주요 관심사는 물고기 서식지 및 수영 성능에 중요한 중간 규모 기능과 관련된 복잡성을 포착 할 수 있는지 여부였습니다 (Crowder and Diplas 2000).

혼합된 결과는 서식지 평가를 위해 모델링되는 도달 범위의 특성에 따라 2D CFD 모델이 수력 조건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Clark et al. 2008; Shen and Diplas 2008; Kozarek et al. 2010) . 서식지 또는 지형 모델링에 중점을 두는 경우 깊이 평균 2D 모델과 직접 비교할 때 3D 모델 사용이 선호되었습니다 (Lane et al. 1999; Shen and Diplas 2008). 그러나 수력 구조물에서 상류 어류의 움직임을 평가할 때 2D 및 3D 모델의 성능을 비교 평가 한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이 연구에서 CFD 모델의 비교는 2D 소프트웨어 River2D와 3D 소프트웨어 FLOW-3D에 중점을 둡니다 (Flow Science, 2009). 2D 모델과 3D 모델의 가장 큰 차이점은 2D 모델은 각 계산 노드에서 유압 변수의 값을 깊이 평균한다는 것입니다. 이 깊이 평균은 구조물의 물고기 친화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있는 중요한 흐름 특징과 경계층 효과를 배제 할 수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심 평균 속도 값은 WWP 구조 하류의 수력 조건이 동일한 도달 범위 내의 자연 풀에있는 것과 유사하다고 잘못 제안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두 유동장은 어류 개체군에 다르게 영향을 미칠 수있는 고유 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Kolden 2013). River2D는 또한 정수압과 일정한 수평 속도 분포를 가정하는 반면 FLOW-3D는 이러한 가정을 피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2D CFD 모델링 프로그램 (Toombes and Chanson 2011)에서 요구하는 정수압 가정은 가파른 경사 (> 10 %)와 급변하는 경사 (Steffler and Blackburn 2002)에서 계산 정확도를 제한합니다. 속도 분포가 일정하다는 가정은 수직 속도 구성 요소가 무시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본질적으로 2D CFD 모델을 사용하여 2 차 흐름 및 강한 순환을 분석하는 기능을 제거합니다 (Steffler and Blackburn 2002; Toombes and Chanson 2011).

이러한 가정과 2D 물리적 표현의 단순화 된 특성을 고려할 때 2D CFD 모델이 물고기 통과 예측 평가를 위해 채널 스패닝 구조의 복잡한 유체 역학을 적절하게 해결할 수 있는지 여부는 불분명합니다.

Figure 1. Alaska requires minimum water depth for fish passage to be 2.5 times the height of the caudal fin (D) (Hotchkiss and Frei 2007).
Figure 1. Alaska requires minimum water depth for fish passage to be 2.5 times the height of the caudal fin (D) (Hotchkiss and Frei 2007).
Figure 2. Depth (m) and velocity magnitude (m/s) River2D contours for 0.42 cms.
Figure 2. Depth (m) and velocity magnitude (m/s) River2D contours for 0.42 cms.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원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FD가 처음이신가요?

소개

본 자료는 전산유체역학(CFD)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보통 열유동해석, 그냥 유동해석 또는 수치해석 중에서 유체를 다루는 해석이라고 쉽게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내용 안내

A general description of how to think about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is given in the article, Simulating Fluid Flow with Free Surface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idea of reducing a simulation region into small volume control elements for which algebraic equations are constructed to describe the conservation of mass, momentum and energy exchanges with neighboring elements. Additionally, a simple method is introduced for a means of describing the motion of free fluid interfaces within the region of control elements.

전산 유체 역학 (CFD)의 개념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자유 표면의 유동 시뮬레이션에 기술되어 있습니다. 이 절에서는 시뮬레이션 영역을 미소 체적 제어 요소로 세분화하는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볼륨 컨트롤 요소에 대해 질량 및 운동량 보존, 인접 요소와의 에너지 교환을 설명하는 대수 방정식이 구성됩니다. 또한 컨트롤 요소의 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유체 계면의 운동을 설명하는 간단한 방법도 설명되어 있습니다.

Also for beginners, the article, What you should know about CFD modeling when selecting a CFD software, contains brief summaries of a variety of issues that are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constructing numerical solutions to fluid dynamic problems. Many of these issues, such as meshing, geometry representation, implicit versus explicit numerical methods and relaxation/convergence parameters are explored in greater detail in the remaining articles in CFD-101.

또한 CFD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을 위해, CFD 소프트웨어 선택시 전산 유체 역학 모델링에 대해 알아야 할 것에는 유체 역학 문제에서 수치 해석을 수행하기위한 중요하게 고려하는 다양한 이슈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많은 이슈에는 메쉬, 기하 형상 표현, implicit 방법과 explicit 방법, relaxation/convergence 매개 변수 등이 있는데 본 CFD-101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CFD 해석 | 격자(Mesh) 공간

본 자료는 국내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원문 번역을 해서 제공하기 때문에 일부 오역이 있을 수 있어서 원문과 함께 수록합니다. 자료를 이용하실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FD입문] 전산 유체 역학 모델의 기초 자료가 새롭게 등록 되었습니다.

홈페이지에 전산 유체 역학 모델의 기초 자료가 새롭게 등록 되었습니다.

CFD-101 전산 유체 역학 모델의 기초는 전산 유체 역학의 기본을 정리한 가장 포괄적인 온라인 소스입니다.

본 자료의 저자인 CW (Tony) Hirt 박사는 Flow Science Ince의 설립자이며, VOF 방법의 전문가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본 자료는 Hirt 박사의 원문인 CFD-101을 일부 번역하여 소개하는 자료입니다.

CW (Tony) Hirt 박사

 

자료위치로 바로가기 클릭

문서에 일부 오타나 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보완하여 양질의 좋은 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고객 여러분들 께서도 수정사항을 발견하시면 저희에게 연락주셔서 이용하는 모든 사람들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 02-2026-0455
이메일 : flow3d@stikorea.co.kr

감사합니다.

수치 불안정성

Numerical Instability / 수치 불안정성

Many numerical approximations to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are unusable because they produce unstable computational results. Computational stability issues have been discussed in two previous articles in the CFD-101 series: Computational Stability and Heuristic Analysis. In this article, a simple mechanical model is described that leads to an understanding of common numerical instabilities associated with approximations of the Navier-Stokes equations. In particular, the simple model applies to instabilities arising from fluid dynamic forces such as viscous stress, surface tension, elasticity and more. The stability conditions obtained with the simple model do not depend on any particular numerical approximations, but instead involve only generic considerations of mass and forces.

편미분 방정식의 많은 수치 근사는 불안정한 계산 결과가 발생하므로 불안정합니다.  계산 안정성의 문제는 “전산 유체 역학 모델의 기초”시리즈의 마지막 2 항, 즉 계산 안정성과 휴리스틱분석 에서 논의되고 있습니다.  이 절에서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과 관련된 일반적인 수치 불안정성의 이해로 이어질 간단한 기계적 모델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 간단한 모델은 특히 점성 응력, 표면 장력, 탄성 등의 유체 역학적인 힘에서 발생하는 불안정성에 적용됩니다.  간단한 모델에 의해 얻어지는 안정성 조건은 특정 수치 근사에 의존하지 않지만 대신 질량과 힘에 대한 일반적인 고려 사항만을 포함합니다.

The Model System

Figure 1. Model System

Imagine a mass M located between two rigid walls and connected to the walls by springs, as shown in Fig. 1. Assuming that the springs satisfy Hook’s law in which a spring force on the block is proportional to the change in length of the spring, an equation of motion for the block, which moves in only the horizontal direction is,

그림 1과 같이 두 강체 벽 사이에 위치하고 그 벽에 스프링으로 연결된 질량 M을 가정합니다.  블록에 작용하는 스프링 힘이 스프링의 길이의 변화에 비례하는 훅의 법칙을이 스프링이 채운다고 가정했을 경우,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블록의 운동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됩니다.

(1)     \displaystyle M\frac{\partial U}{\partial t}=-2k\left( X-{{X}^{0}} \right)

Symbol X0 indicates the initial x position of the block and M is the block mass. Initially X=X0 and the block is at rest, U=0. Now imagine a perturbation given to the block by assigning a velocity of U0 at time t=0. After a small time interval δt the block moves to position X1=X0+U0δt and a simple discretization of Eq. 1 gives the velocity at the end of the time interval as,

기호 X0는 블록의 초기 x 위치를 나타내는 기호 M은 블록의 질량을 나타냅니다.  초기 상태에서는 X = X0이며, 블록은 정지하고, U = 0입니다.  여기서, 시간 t=0에서 속도 U=0을 지정하여 블록에 섭동을 준다고 가정합니다.  작은 시간 간격 δt 후 블록은 위치 X 1 = X 0 + U 0 δt로 이동하여 식 1의 간단한 이산화에 의해 시간 간격의 마지막의 속도는 아래 식과 같이 표현됩니다.

(2)     \displaystyle M\left( \frac{{{U}^{1}}-{{U}^{0}}}{\delta t} \right)=-2k\left( {{X}^{1}}-{{X}^{0}} \right)

Replacing X1 by its value X0+U0 δt and rearranging gives an equation for the new velocity U1,

X1을 값 X0 + U0 δt로 치환하여 정리하면 새로운 속도 U1의 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3)     \displaystyle {{U}^{1}}={{U}^{0}}\left( 1-2\frac{k\delta {{t}^{2}}}{M} \right)

This is a recursion in which for each successive time-step the velocity at the end of the time step is equal to the previous value of the velocity times the bracketed quantity in Eq. 3, so that after n time steps,

이것은 재귀 식이고, 연속하는 각 시간 단계에 대해 그 시간 단계의 마지막에 속도가 이전 시간 단계의 속도 값으로 식 3의 괄호 안의 금액을 곱한 값과 같아, n 시간 단계 후에는 아래와 같이됩니다.

 

(4)     \displaystyle {{U}^{n}}={{U}^{n-1}}\left( 1-2\frac{k\delta {{t}^{2}}}{M} \right)={{U}^{0}}{{\left( 1-2\frac{k\delta {{t}^{2}}}{M} \right)}^{n}}

Note that the superscript n on the bracketed quantity in Eq. 4 is an exponent, not a time level index, although its value in this case is the same as the time level index. From Eq. 4 we see that if the quantity in the bracket has an absolute magnitude larger than 1.0 the velocity Un will increase exponentially with increasing n. Thus, to prevent the exponential growth of the velocity in this model system, the time-step size must be limited to satisfy the following inequality,

식 4의 괄호 안의 금액의 위 첨자가 시간 수준 지표가 아닌 지수인 것에주의하십시오.  그러나 이 경우 지수 값과 시간 수준 지표는 동일합니다.  식 4에서 괄호 안의 금액이 1.0보다 큰 절대 값을 가지는 경우, 속도 Un은 n의 증가와 함께 지수 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모델 시스템에서 속도의 기하 급수적 증가를 막기 위해서는 다음의 부등식을 만족하도록 시간 단계 크기를 제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5)     \displaystyle \frac{k\delta {{t}^{2}}}{M}\le 1

When the left hand side of Eq. 5 is greater than one, the velocity Un will oscillate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values on consecutive time steps while exponentially increasing in magnitude.

식 5의 왼쪽이 1보다 큰 경우 속도 Un은 크기가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연속 시간 단계에서 양수와 음수 사이를 진동하게됩니다.

This behavior is characteristic of a classical numerical instability. In this case, Eq. 5 shows that the instability can be prevented by keeping δt small enough to satisfy the inequality. As a general rule when a numerical instability occurs and exhibits the character of increasing plus and minus values on successive time steps it can be cured by reducing the time-step size.

이 동작은 고전적인 수치 불안정성의 특징입니다.  이 예에서는 불평등을 충족 δt를 충분히 작게 유지하여 불안정성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고 식 5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치 불안정성이 발생하여 연속 시간 단계에서 증가하는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값의 특징이 나타난 경우는 시간 단계 크기를 작게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습니다.

Exploring this simple mechanical model further we can see from Eq. 4 that the instability results from an overreaction to an initial action. That is, when the time-step size large, Eq. 4 predicts a new velocity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with a larger magnitude. This excessive velocity then becomes the starting condition for the subsequent time step, leading to an exponential increase in the velocity magnitude.

이 간단한 기계적 모델을 더 고려하면 불안정성이 초기 작용에 대한 과민 반응에 기인하는 것으로 식 4에서 알 수 있습니다.  즉, 시간 단계 크기가 큰 경우, 식 4는 반대 방향의 크기가 커진 새로운 속도가 예상됩니다.  이 과잉 속도가 이번에는 다음 시간 단계의 시작 조건이 속도의 크기의 지수적인 증가로 이어집니다.

The stability condition in Eq. 5 is based on an explicit formulation, meaning that the current response of the mass is expressed in terms of the previous displacement. An implicit formulation,where the current response of the mass is based on the subsequent position of the mass (i.e., using X2 in Eq. 2 instead of X1) would likely be unconditionally stable, but it requires a knowledge of the unknown final position X2. For most equations implicit methods require an iterative solution, and the additional computational effort required for such solutions is the price that must be paid to eliminate the stability condition.

식 5의 안정성 조건은 explicit 배합에 따라 있습니다.  이것은 질량의 현재 응답이 이전의 변위에 의해 표현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질량의 현재 응답이 후속 위치에 따른 implicit 공식화 (즉, 식2의 X1 대신 X2를 사용)는 무조건 안정이라고 생각됩니다 만, 미지의 최종 위치 X 2 이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방정식의 경우, implicit 해법은 반복 분석이 필요하기 때문에 반복 분석에 필요한 추가의 계산량은 안정성 조건을 없애기 위해 지불해야하는 대가입니다.

Application to the Navier-Stokes Equation

To use the above mechanical model of a numerical instability to understand instabilities that may occur in the Navier-Stokes equation imagine two elements of an Eulerian computational grid in which a perturbation is made to a velocity on the boundary separating two elements, as shown in Fig. 2.

위의 기계적 모델의 수치 불안정성을 이용하여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안정성을 이해하기 위해 그림 2와 같이 두 개의 요소를 나눌 경계의 속도에 섭동이 된 오일러 계산 격자에 의한 2 개의 요소를 가정합니다.

Grid model

Figure 2. Grid Model

For simplicity, think of the elements outlined by solid lines as cubes of equal size, and that the vector represents a velocity in the x direction. The dashed lines in the centers of the elements (i.e., y-z planes) define the extent of the partial volumes of the elements assigned to the u velocity. The total mass of fluid in the partial volumes correlates to the mass M in the mechanical model. When the velocity U moves fluid between elements the elements respond by generating forces that act to counter the velocity, much like the springs in the mechanical model. These forces may arise because of compression or expansion of the fluid, viscous stresses, surface tension (if there is a fluid interface within the fluid mass M) or other forces. By identifying the appropriate stiffness coefficient k in each case we can use Eq. 5 to arrive at a stability criterion for that physical process when using an explicit numerical approximation in a grid like that shown in Fig. 2.

간단히, 실선에 의해 윤곽이 그려져 있는 요소가 동일 크기의 입방체라고하고 벡터 x 방향의 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두 요소의 중앙 (즉 yx 평면)의 점선에 의해 속도 U에 할당 된 요소의 부분 체적의 범위가 정의됩니다.  부분 체적 내에 유량의 전체 질량은 기계적 모델의 질량 M과 상관 관계가 있습니다.  속도 U는 응답 요소 사이의 유체가 이동 된 경우 기계적 모델 스프링과 마찬가지로 속도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힘을 발생하여 요소는 응답합니다.  이러한 힘은 유체 점성 응력, 표면 장력 (유체와 질량 M의 범위 내에 유체 계면가있는 경우) 또는 기타의 힘에 의한 압축 또는 인장으로 인해 발생 될 수 있습니다.  각 예에서 적절한 강성 계수 k를 특정하여 그림 2와 같은 격자에서 양으로 수치 근사를 사용하는 경우, 식 5를 사용하여이 물리적 과정에 대한 안정성 기준에 도달 가능합니다.

Several examples of how this analogy can be applied are given in the following sections. In each case the mass M of the fluid in the partial volumes is given by,

이 유사성을 어떻게 적용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예는 다음 절에서 설명합니다.  각 예에서 부분 부피의 유체의 질량 M은 아래 식에 의해 주어집니다.

(6)     \displaystyle M=\rho \delta x\delta y\delta z,

where ρ is the density of the fluid and elements have dimensions δx, δy and δz.

여기서, ρ는 유체의 밀도이며, 요소의 치수는 δx, δy와 δz입니다.

Compressible Fluids

To find the stiffness coefficient, k, recall that k is a measure of the force generated to resist an applied perturbation. For a compressible fluid this force is related to the change in fluid pressure because of a change in fluid density according to the thermodynamic relation dp=c2dρ, where c is the speed of sound in the fluid. The fluid mass moved across the boundary between the elements is ρUδt*δyδz and the change in density in the element receiving the mass is this mass change divided by the volume of the element, dρ=ρUδt/(δx). The corresponding change in element pressure is then given by

강성 계수 k를 요구하려면, k가 더해진 섭동에 저항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힘의 척도임을 기억하십시오.  압축성 유체의 경우,이 힘은 유체 압력의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것은 열역학적 관계 dp = c 2 dρ 의한 유체 밀도의 변화에 의한 것입니다.  여기서 c는 유체의 음속입니다.  요소 사이의 경계를 넘어 이동 한 유체의 질량은 ρUδt * δyδz이며, 질량을받는 요소에서의 밀도 변화는이 질량을 요소의 부피로 나눈 dρ = ρUδt / (δx)입니다.  그 결과, 요소 압력의 대응하는 변화는 아래에 제공됩니다.

(7)     \displaystyle dp={{c}^{2}}d\rho =\frac{\rho {{c}^{2}}U\delta t}{\delta x}.

The force responding to the U velocity perturbation in each element is the product of the pressure change from Eq. 7 and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element δyδz. The effective stiffness of an element k, is therefore the force divided by the initial displacement Uδt,

각 요소의 속도 U의 섭동에 응답하는 힘은 식 7에 의한 압력 변화와 요소 단면적 δyδz의 곱입니다.  따라서 요소의 유효 강성 k는 힘을 초기 변위 Uδt로 나눈 것입니다.

(8)     \displaystyle k=\frac{\rho {{c}^{2}}U\delta t\delta y\delta z}{\delta xU\delta t}=\frac{\rho {{c}^{2}}\delta y\delta z}{\delta x}

Substituting this value for k and the definition for M, from Eq. 6, into the stability condition Eq. 5 results in the stability condition for compressible fluids,

이 k의 값과 식 6에 따르면 M의 정의를 안정성 조건 식 5에 대입하여 압축성 유체의 안정성 조건을 얻을 수 있습니다.

(9)    \displaystyle \frac{k\delta {{t}^{2}}}{M}={{\left( \frac{c\delta t}{\delta x} \right)}^{2}}\le 1.

This is the well-known Courant condition than restricts the distance a sound wave travels in one time step to be less than the width of a computational element. An analogy with the simple mechanical model has provided this result without the need to write out an equation for pressure waves in a compressible fluid and then perform a stability analysis on that equation.

이것은 하나의 시간 스텝 중에 음파가 진행하는 거리를 계산 요소의 폭보다 짧게 제한하는 잘 알려진 쿨랑 조건입니다.  간단한 기계적 모델과의 유사성에 따라 압축성 유체 음파 방정식을 기술하고, 그 방정식에 의한 안정성 분석을 수행 할 필요없이이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Viscous Stresses / 점성 응력

The viscous forces that are generated in response to a perturbed velocity U in a fluid of viscosity μ consist of shears in the x, y and z directions. For example, the shear stres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ement for the velocity U is μU/δz, assuming that the velocity in neighboring cells is zero. There is a corresponding stress at the upper surface of the element. Each of these stresses act on a surface of area δxδy (in the current example) to produce a viscous force. Similarly, there are stresses in the x and y direction acting on their corresponding areas. In each direction there are force pairs (similar to the two springs) but because of Eq. 5 it is necessary to use the effective k for a single spring. This is half of the total of all the the viscous forces divided by the initial displacement Uδt,

점도 μ의 유체의 섭동 속도 U에 대해 생성되는 점성 힘은 x, y 및 z 방향의 전단력으로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인접 셀의 속도가 0이라고 가정하면 속도 U에 요소의 아랫면에 작용하는 전단 응력은 μU / δz입니다.  요소의 표면에는 압축 응력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응력의 각각은 표면적 δxδy (본 예의 경우)에 작용하고 점성 힘을 발생합니다.  마찬가지로 해당 면적에 작용하는 x 및 y 방향의 응력도 존재합니다.  각 방향에서 (2 개의 봄처럼) 세트 힘이 존재하지만, 식 5를 위해 1 개의 봄의 유효 강성 k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것은 모든 점성 힘의 합계를 초기 변위 Uδt로 나눈 것의 절반입니다.

(10)     \displaystyle k=\mu \left( \frac{U\delta y\delta z}{\delta x}+\frac{U\delta x\delta z}{\delta y}+\frac{U\delta x\delta y}{\delta z} \right)\frac{1}{U\delta t}.

Inserting this value for k and using Eq. 6 for M into the stability condition for the mechanical model given in Eq. 5 yields

식 5에 의해 주어진 기계적 모델의 안정 조건에 k의 값을 넣고 M 식 6을 사용하면 아래 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11)     \displaystyle \frac{k\delta {{t}^{2}}}{M}=\frac{\mu }{\rho }\left( \frac{1}{\delta {{x}^{2}}}+\frac{1}{\delta {{y}^{2}}}+\frac{1}{\delta {{z}^{2}}} \right)\delta t\le 1.

Equation 11 is the stability condition for explicit viscous stresses approximated in an Eulerian grid.

식 11은 오일러 격자에 근접한 explicit 점성 응력의 안정성 조건입니다.

Surface Tension

Grid model with deformed interface

Figure 2A. With deformed interface.

Imagine a fluid interface located between the two elements that is deformed by a U velocity perturbation, as shown in Fig. 2A. In this case the reaction is a surface tension force on each of the segments of the surface illustrated in Fig. 2A. For simplicity, assume a two-dimensional surface (e.g., no variation in the z direction) and a constant surface tension coefficient σ.

그림 2A와 같이 속도 섭동 U에 의해 변형된 2 개의 요소 사이에 위치하는 유체 계면을 상정합니다.  이 예에서, 반응은 그림 2A에 표시된 표면의 각 구분에 작용하는 표면 장력에 의한 힘입니다.  간단히 2 차원 표면 (예 : z 방향의 변화없이)과 일정한 표면 장력 계수를 가정합니다.

 

Surface tension in each segment acts tangentially along the surface so the force responding to the U velocity is the x component of that force, i.e., the surface tension coefficient times the sine of the angle of the surface segmen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or a small initial displacement, the x-force from each surface segment can be approximated by σUδtδz/δy giving the resulting stiffness coefficient,

 각 구분의 표면 장력은 표면에 따라서 접선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속도 U에 대응하는 힘은 표면 장력의 x 성분입니다.  즉, 수직의 표면 구분 각도의 사인을 표면 장력에 곱한 것입니다.  작은 초기 변위의 경우 각 표면 세그먼트에서 x 방향의 힘은 σUδtδz / δy 의해 근사 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다음의 강성 계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12)    \displaystyle k=\left( \frac{\sigma U\delta t\delta z}{\delta y} \right)\frac{1}{U\delta t}

Substituting this k and M into Eq. 5 gives the stability condition for surface tension,

이 k와 M을 식 5에 대입하면 표면 장력에 대한 안정성 조건을 얻을 수 있습니다.

(13)     \displaystyle \frac{k\delta {{t}^{2}}}{M}=\frac{\sigma }{\rho }\frac{\delta {{t}^{2}}}{\delta x\delta {{y}^{2}}}\le 1.

This result appears somewhat odd because of the different exponents of the δx and δy factors, but for cubic or square elements this makes no difference. For non-uniform elements, however, we should perform a similar evaluation in the y and z directions and then use the most restrictive of the results. In any case, this is a reasonable and useful result from a very simple model based on action and reaction principles.

이 결과는 δx과 δy 지수가 다르기 때문에 다소 이상하게 보이지만, 입방체 또는 사각형 요소의 경우 그 영향은 없습니다.  하지만 For non-uniform 요소의 경우 y 및 z 방향에서 비슷한 평가를 실시하여 가장 제한적인 결과를 사용할 수 있어야합니다.  어쨌든, 이것은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에 근거한 매우 간단한 모델에 의한 합리적이고 유익한 결과입니다.

Bulk Elasticity / 체적 탄성

For a fluid with elastic properties the U velocity perturbation is resisted by an elastic stress in a way that closely resembles a spring. If ε is the bulk modulus of the fluid then the stress associated with extension or compression in an element is εUδt/δx. This stress acts over the surface area δyδz, and the stiffness k is this force divided by the displacement Uδt. Substituting this into Eq. 5 provides the stability condition,

탄성 특성을 가진 유체의 경우 속도 U의 섭동은 스프링과 잘 닮은 형식의 탄성 응력에 의해 제한됩니다.  유체의 체적 탄성률이 ε의 경우 요소의 인장 또는 압축에 관련하는 응력은 εUδt / δx입니다.  이 응력은 표면적 δyδz 작용하고 강성 k는이 힘을 변위 Uδt로 나눈 것입니다.  이것을 식 5에 대입하면 아래의 안정성 조건을 얻을 수 있습니다.

(14)     \displaystyle \frac{k\delta {{t}^{2}}}{M}=\frac{\varepsilon }{\rho }\frac{\delta {{t}^{2}}}{\delta {{x}^{2}}}\le 1.

Similar results exist for the y and z directions.

비슷한 결과가 y 및 z 방향으로도 존재합니다.

Concluding Remarks

A simple mechanical model has been used to illustrate a common type of numerical instability, that arises from an action-reaction process. Using this simple model it is possible to quickly derive a variety of stability conditions for fluid dynamic forces modeled by explicit finite difference approximations in an Eulerian grid. The stability conditions are derived by using mass and force concepts in fluids that are analogous to the mass and forces in the model mechanical system. Significantly, the stability conditions arrived at are generic and do not depend on specific finite-difference approximations. Additionally, these derivations provide a simple way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driving the unstable behavior.

간단한 기계적 모델을 사용하여 작용과 반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유형의 수치 불안정성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이 간단한 모델을 사용하여 오일러 격자의 양으로 유한 차분 근사에 의해 모델링 된 유체 역학적인 힘에 대한 다양한 안정성 조건을 신속하게 도출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안정성 조건은 기계적 모델 시스템의 질량과 힘 유사한 유체의 질량과 힘의 개념을 이용하여 도출됩니다.  중요한 점은 도달한 안정성 조건이 일반적이며 특정 유한 차분 근사에 의존하지 않는 것입니다.  또한이 도출에 의해 불안정한 거동을 야기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간단한 방법도 제공됩니다.

The approach taken here could be extended to other types of physical forces (e.g., electrical, non-inertial, etc.) and even advective processes could be included by using the analogy that a change in momentum resulting from advection could be thought of as the result of an equivalent force.

여기서 사용한 방법은 다른 유형의 물리적 힘 (예 : 전기적 힘 비 관성력 등)로 확장 할 수 있으며, 이류(advective )에 의해 생기는 운동량의 변화를 등가 힘의 결과로 생각되면 유사성을 이용함으로써 이류 과정조차 포함 할 수 있습니다.

Furthermore, more refined estimates of the stiffness coefficient, for instance, by including more dimensional effects, could be added to enhance the stability conditions. In any case, the object here is to show that numerical instabilities can often be understood from a simple analysis. It is hoped that the insight this provides might guide the development of more robust and accurate numerical approximations.

또한, 예를 들어 더 많은 차원 효과를 포함하여 강성 계수보다 정밀한 추정을 추가하고 안정성 조건을 강화 할 수 있습니다.  어쨌든 여기에서의 목표는 대부분의 경우 수치 불안정성을 간단한 분석에서 이해하고 보여주는 것입니다.  여기에 제공된 통찰력이 더 강력하고 정확한 수치 근사치의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수치 문제

본 자료는 국내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원문 번역을 해서 제공하기 때문에 일부 오역이 있을 수 있어서 원문과 함께 수록합니다. 자료를 이용하실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Numerical Issues

Computational modeling involves not only the consideration of a host of physical issues, but also there are many aspects associated with numerical approximations that likewise have to be addressed.  The articles in this section of CFD-101 focus on some of the more important numerical issues.

수치 문제

수치 모델링에는 많은 물리적 문제의 검토뿐만 아니라 수치 근사치에 관련된 많은 측면도 고려하여야 합니다.  전산 유체 역학 모델의 기초에 있는 절에서는 중요한 수치 문제의 일부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First and foremost issue is the question of numerical stability; a simulation that is not computationally stable is useless.  There are four separate articles on stability considerations beginning with a discussion of the classical Fourier analysis method originated by von Neuman.  This is followed by a discussion of an approximate method referred to as a Heuristic Stability analysis that often provides useful insight into what causes instability and how it might be repaired.  A third article explains, using a simple mechanical model, one common type of numerical instability involving an action-reaction process. Finally, there is the article Unconditional Numerical Stability that describes a simple way to determine if a numerical approximation of an evolution equation is likely to be unconditionally stable or not.

첫 번째 문제는 수치 안정성에 대한 질문이고, 계산상 안정되지 않은 시뮬레이션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안정성 검토는 4개의 독립적인 섹션에서 첫 번째 항은 von Neuman을 기원하는 고전 푸리에 분석 방법 에 대한 논의입니다.  그 다음은 불안정의 원인이 무엇인지, 또한 그 대처 방법에 대한 유용한 통찰력을 종종 제공되는 휴리스틱 안정성 해석이라는 근사 방법에 관한 논의입니다.  세 번째 섹션에서는 간단한 기계적 모델을 사용하여 작용과 반응의 과정을 포함한 수치 불안정성 의 일반적인 유형 중 하나에 대해 설명합니다.  Finally, there is the article Unconditional Numerical Stability that describes a simple way to determine if a numerical approximation of an evolution equation is likely to be unconditionally stable or n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