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nicipal

FLOW-3D는아래 시설물과 같은 도시의 수처리 시설물 설계와 분석에 매우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 Mixing, settling, and contact tanks
  • Control structures like weirs, gates, ramps, and orifices
  • Combined sewer (CSO) and stormwater sewer (SSO) overflow facilities
  • Pump and lift stations
  • Treatment plant headworks
  • Filtration systems and passive earth and stone filters
  • Baffle and wall placement
  • Hydraulic efficiency and short-circuiting

Vortex simulation municipal application with FLOW-3D

Vortex formation simulated with FLOW-3D

FLOW-3D는 자유표면, 가압(pressurized), 미임계(sub-critical)와 초임계(super-critical) 흐름조건 등을 전환하는 자유표면과 제한된 흐름패턴 모두와 균일한 모델 상태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추가 물리 패키지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복잡한 상황을 모델링 FLOW-3D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 Flow bulking due to air entrainment
  • Air bubble escape and air pocket pressurization
  • Drifting and settling particulate matter and the effect on the flow pattern of sediment accumulation
  • Chemical reactions
  • Moving gates and paddles
  • Fast-spinning bladed objects, pumps, and impellers
  • Dissolving and eroding solids
  • Granular flow (slurries)

적용사례

정수장 : DAF SYSTEMS

  • 용존공기부상법 (DAF Systems: Dissolved Air Floation )
    • 가압상태에서 과포화된 물을 감압시키면, 미세기포가 발생되어 상승하면서 수중의콜로이드물질과 충돌/부착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수중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수처리 방법
  • Two Phase(Water+Air)/Drift Flux을 이용 기포에 의한 지내의 유동양상을 파악
  • 해석을 통한 기존 구조물의 문제점 파악하여 개선
  • 정수장_DAF_시스템

정수장 : 펌프장 해석

정수장_펌프장_모델해석결과

정수장_펌프장_모델

정수장 : 분말활성탄접촉조

  • v분말활성탄 접촉조 : 유입구의 구조, 수로의 장폭비, 도류벽구조에 의한 변화 -> 최적형상 도출
  • v해석을 통해 각종 Index(Morill Index, Modal Index 등) 분석

분말활성탄접촉초

정수장 : 응집제의 확산

  • G, 혼화지 구조에 따른 turn over time, 지내 속도 분포, 체류시간(t), 등 분석
  • 완속 혼화기, 급속혼화기에서 응집제의 혼화 및 분산 효과 파악

고속분사기_응집제확산

정수장 : 분배수로 유량분배

  • 분배수로의 기능 : 응집지 및 침전비 별로 균일하게 물을 분배함
  • 분배수로의 구조에 따른 응집지 유입수의 유량분배 해석
  • 구조별 유량분배 문제점 파악 및 개선방안 제시
  • 구조별 유량분배를 정량화하여 정수장 효율 향상에 기여함.

분배수로_유량분배

정수장 : 응집지 속도구배(du/dy) 검증

  • 응집기내부의 유동양상 및 속도구배(G)를 규명하여 최적의 운영조건 도출

응집지속도구배

정수장 : 여과지 역세척

  • Strainer를 통한 역세척수 유입 시 유동양상 해석 실시
  • 역세척 시 압력분포의 균일성, 사수부, 침전수의 월류여부 파악
  • 여과 및 역세척의 문제점 파악하여 효율향상 극대화

여과지_역세척

정수장 : 정수지 실험해석 비교

  • 정수지의 기능 : 염소를 균일하게 혼화
  • 정수지 유동양상 및 염소 농도, 체류시간 해석으로 CT 값 예측 및 문제점 개선
  • 실험과의 비교를 통하여 정확성 확보
  • 기존 정수지의 효율향상 및 최적 정수지 형태 제안
  • 정수지는 분말활성탄접촉조와 기능과 형상 유사

정수장_정수지해석

정수장 : 침전지대기온도, 일사량 등 외부조건 고려

  • 대기온도, 일사량 등 외부조건을 고려한 침전지 유동해석 실시
  • 침전지 내부의 밀도류 발생 원인 분석 및 Floc의 운동양상, 제거효율을 해석
  • 실험과의 비교를 통하여 정확성 확보

정수장_침전지_외부조건고려해석

정수장 : 취수탑 선택취수

  • v취수탑 : 상수도·관개·수력발전용 물을 저수지나 하천으로부터 끌어들이기 위한 구조물
  • v취수탑의 선택취수 문제 해석 사례
  • v취수탑 개도 조건에 따른 유출수온도, 조류 유입, 수심별 유입량 등을 예측

취수탑해석

 

하수처리장 : 침전지

  • 침전지 : 하수와 슬러지의 분리 및 배출 기능
    • 해석목적
    • 2차 침전지에서 유량 분배 문제점 파악
    • 2차 침전지에서 유입부 개선안 도출
    • 2차 침전지내의 슬러지 배출 개선안 도출

하수처리장_침전지_모델 하수처리장_침전지_모델_해석결과

 

하수처리장 : 침전지 유량분배 및 유속

  • 구조물의 형상, 유량에 따른 침전지 유동해석
  • 각 지별 유량 분배 균등 여부 파악
  • 슬러지의 재부상(scouring) 여부 예측 및 방지 방안 검토
  • 월류형식, 유입부의 위치 및 규격, 등 설계 요소를 조절하여 균등 분배 유도
    • 하수처리장_침전지_유량분배_해석결과

하수처리장 : 침전지 월류부 해석

  • 침전지 월류부 유동양상 파악
  • 침전지 형상, 월류부 형상에 따른 유속분포 비교
  • 사수부 파악 및 단락류 최소화를 위한 월류부 형상 결정
  • 슬러지의 월류부 개선을 통한 효율 향상

하수처리장_침전지_월류부해석

하수처리장 : 침전지 침전효율

  • 구조물의 형상별, 처리 유량별 침전효율, 사수부 평가
  • 균일한 유속분포에 의한 침전효율 향상
  • 침전지 형상, 유입부 위치, 등을 변경하여 효율 비교
  • 체류시간 검토를 통한 효율 비교
  • 슬러지 침전형태의 비교

하수처리장_침전지_침전효율

하수처리장 : 무산소조

  • 하수처리장 : 무산소조
  • 하수 및 반송슬러지의 혼합, 임펠러의 회전에 의한 혼합양상 해석 실시
  • 유입수 및 내부반송수의 유속분포, 혼합농도 평가
  • 단락류 발생정도 파악 및 완전교반 유도에 유리한 설계방안 검토
  • 내부반송량, 반송슬러지 유입관의 위치 개선으로 효율 향상

하수처리장_무산소조

하수처리장 : 담체의 부상

  • 설계 요소에 따른 담체의 분포 및 흐름 양상 예측
  • 해석 설계 요소 : 조의 형상, 펌프의 용량 및 위치, 내부 배플의 형상

하수처리장_담체의부상

하수처리장 : 호기조 (Aerator)

  • 호기조내 체류시간 분석
  • 기포의 분포, 조내 위치별 D.O 예측
  • 단락류 발생 정도 및 사수부 파악
  • 폭기량 및 폭기 방식에 따른 내부 유동양상을 통한 효율예측

하수처리장_호기조

하수처리장 : 호기조 (D.O 예측)

  • 용존산소량 (Dissolved Oxygen) : 물 속에 녹아 있는 산소량 è 수온이 높아지거나 오염되면 DO감소
  • 조내 산기관에 의해 오염수를 전체적으로 용존산소량 증가 목적 è 조내 사수부, 체류시간 분석
  • 산기관에 의한 공기 방울의 분포 및 D.O 분포를 수류의 흐름을 고려하여 예측
  • 호기조의 구조 및 산기관의 배치에 따른 효율 분석

하수처리장_호기조_용존산소량

하수처리장 : 막분리조

  • 막분리조내의 수류순환 유동해석 실시
  • Air 유입과 Membrane내의 수류순환 유동 검토
  • 사수부 최소화를 위한 구조 변경 (유입부 방식, 위치 및 산기관 위치, 등)
  • 처리 유량에 따른 내부 효율 변화 검토 – 운영조건 제시

하수처리장_막분리조

 

하수처리장 : SBR/PSBR 호기공정

  • 송풍기 작동시 원수와 슬러지의 혼합양상 분석
  • 수중포기기와 송풍기의 작동에 의해 조 내의 슬러지 혼합 활성화 여부 판단 : 수중포기기와 송풍기의 적절한 위치 및 회전수 조절에 의해 개선안 제시 가능

하수처리장_SBR_호기공정

하수처리장 : SBR/PSBR 배출공정

  • 조 내의 유출게이트 OPEN하여 조 내의 상등수 배출양상 분석
  • 바닥의 슬러지 유출없이 배출가능 여부 해석을 통하여 파악 슬러지가 배출되지 않도록 내의 형상 및 문제점 개서안 제시

하수처리장_SBR_배출공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