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배경
- 해상풍력 발전 기초는 파랑 조건에 의해 주변 유동이 크게 교란되어 세굴(Scour)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 기초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세굴 현상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 본 연구는 Flow-3D를 활용하여 해상풍력기초(모노파일 및 삼각대 파일) 주변의 세굴현상을 수치해석하였다.
연구 방법
- 모형 설정 및 입력 조건
- 해상풍력기초 형상: 직경이 다른 모노파일(예: D = 5.0 m, d = 1.69 m)과 동일한 직경의 모노파일, 그리고 삼각대 파일 형식을 대상으로 분석.
- 경계조건: 상류경계에 관측 유속(약 1.066 m/s) 및 극치파랑 조건을 적용하여 세굴현상을 평가.
- 난류 모형: LES 모형과 RNG 모형을 각각 적용하여 세굴 깊이 및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 수치 해석 기법
- Flow-3D 모형을 이용하여 3차원 유동해석을 수행.
- FAVOR 기법과 VOF(Volume of Fluid) 방법을 사용해 복잡한 경계와 자유 표면을 정확히 재현.
- 메쉬 독립성 및 민감도 분석을 통해 계산의 신뢰성을 확보함.
주요 결과
- 모노파일 분석:
- 서로 다른 직경의 모노파일에서는 최대 세굴심이 약 4.13 m로 나타났으며, 동일한 직경의 모노파일에서는 하강류가 증가하여 최대 세굴심이 약 7.13 m로 증가함.
- 이는 동일 직경 모노파일에서 유속이 더욱 빨라지며, 세굴 현상이 심화됨을 시사함.
- 삼각대 파일 분석:
- 상류 경계조건으로 관측 유속과 극치파랑 조건을 각각 적용한 결과, 극치파랑 조건에서는 최대 세굴심이 약 1.3배 정도 더 깊게 발생함.
- 난류 모형 비교:
- LES 모형을 적용한 경우, 세굴심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평형상태에 도달함.
- 반면, RNG 모형은 전체 해석 영역에서 계속해서 세굴현상이 발생하여 평형상태에 도달하지 않음.
- 따라서 해상풍력기초 세굴 해석에는 LES 모형과 극치파랑 조건의 적용이 타당함.
결론 및 향후 연구
- 해상풍력기초에 대한 세굴현상 분석에서는 동일 직경 모노파일보다 서로 다른 직경의 파일 형식이 기초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음.
- LES 난류 모형과 극치파랑 조건을 적용하는 것이 실제 세굴현상을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함.
-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해양 파랑 조건 및 추가 난류 모형 비교를 통해 보다 정밀한 세굴예측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Reference
- W. J. Yang, S. U. Choi. “Three- Dimensional NumericalSimulation of Local Scour around the Bridge Pier usingLarge Eddy Simulation”, Journal of KWRA, vol. 22, no.4-B, pp. 437-446, 2002.
- C. G. Yeo, J. E. Lee, S. O. Lee, J. W. Song. “SensitivityAnalysis of Sediment Scour Model in Flow-3D”,Proceedings of KWRA, pp. 1750-1754, 2010.
- M. H. Oh, O. S. Kwon, W. M. Jeong, K. S. Lee.“FLOW-3D Analysis on Scouring around Offshore WindFoundation”, Journal of KAIS, vol. 13, no. 3, pp.1346-1351, 2012.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3.1346
- A. Stahlmann, T. Schlurmann, “Physical Modeling ofScour around Tripod Foundation Structures for OffshoreWind Energy Converters”, Proceedings of 32ndConference on Coastal Engineering, Shanghai, China,no. 32, pp. 1-12, 2010.
- Flow Science. Flow-3D User’s Manual. Los Alamos,NM, USA, 2016.
- KEPRI. 『Test Bed for 2.5GW Offshore Wind Farm atYellow Sea』 Interim Design Report(in Korea), 2014.
- Germanischer Lloyd. Guideline for the Certification ofOffshore Wind Turbines. Hamburg, Germany, 2005.
- B. M. Sumer, J. Fredsøe, The Mechanics of Scour in theMarine Environment.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Pte. Ltd. 2002.
- S. J. Ahn, U. Y. Kim, J. K. Lee. “Experimental Studyfor Scour Protection around Bridge Pier by Falling-FlowInterruption”, Journal of KSCE, vol. 19, no. II-1, pp.57-65, 1999.
- V. Yakhot, S. A. Orszag, S. Thangam, T. B. Gatski, C.G. Speziale, “Development of turbulence models forshear flows by a double expansion technique”, Physicsof Fluids, vol. 4, no. 7, pp. 1510-1520, 1992.DOI: https://doi.org/10.1063/1.858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