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조사의 목적은 실험 모델 f Khaled Hamad의 박사 학위 논문 인 Submerged Vanes의 실험적 난류 분석을 기반으로 FLOW 3D 컴퓨터 패키지를 사용하여 3 차원 수치 모델링을 개발하여 수치 및 실험 모델 둘 사이의 속도와 압력 결과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이 조사는 모래층에 설치된 침수 베인과 상호 작용할 때 흐름의 거동을 평가하고 이러한 유형의 수력 구조물을 구현할 때 퇴적물 수송 능력이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했습니다.
보정된 모델을 얻기 위해 민감도 분석이 수행되었고 보정은 메쉬 크기, 계산 비용, 시뮬레이션 시간 및 난류 모델을 정의했습니다. 원하는 결과가 얻어 질 때까지 23 번의 테스트가 수행되었고 실험 모델과 같았습니다.
난류 분석은 보정 된 모델 속도, 레이놀즈 전단, 난류 운동 에너지 및 그 소산 속도, 난류 강도 및 Kolmogorov 스케일로 수행되었습니다. 실험 모델과 수치 모델에서 얻은 결과를 비교했습니다. 수치 모형과 실험 모형의 결과를 비교하여 차이와 오차의 비율을 결정하여 수치 모형의 값을 검증 하였습니다.
FIGURA 1.2. (ARRIBA) EROSIÓN DE UN BANCO DE SEDIMENTOS POR LA CORRIENTE
NATURAL;(ABAJO) MITIGACIÓN DE LA EROSIÓN MEDIANTE LA INSTALACIÓN DE PANELES
SUMERGIDOS
FUENTE: (Odgaard, 2009)FIGURA 1.3. REDISTRIBUCIÓN DEL FLUJO POR ACCIÓN DE PANELES SUMERGIDOS
DENTRO DE UNA SECCIÓN TRANSVERSAL DEL CANAL
FUENTE: (Odgaard, 2009)FIGURA 2.2. BOSQUEJO DE LA CIRCULACIÓN INDUCIDA POR UNA SERIE DE TRES
PANELES SUMERGIDOS
FUENTE: (Odgaard, 2009)FIGURA 2.3. ESQUEMA QUE MUESTRA EL CAMBIO PROVOCADO POR TRES PANELES
SUMERGIDOS EN EL PERFIL DE LA CAMA DE SEDIMENTOS
FUENTE: (Odgaard, 2009)FIGURA 2.4. ESQUEMA DEL TRANSPORTE DE SEDIMENTOS
FUENTE: (Sarango, 2013)FIGURA 2.5. FORMAS DEL TRANSPORTE DE SEDIMENTOS
FUENTE: (Garcia & Maza, 1996)FOTOGRAFÍA 3.1. VISTA EN PLANTA DEL CANAL
FUENTE: (Hamad, 2015)FOTOGRAFÍA 3.2. PANEL SUMERGIDO INSTALADO
FUENTE: (Hamad, 2015)FOTOGRAFÍA 3.3. SISTEMA DE COORDENADAS DEL PANEL SUMERGIDO
FUENTE: (Hamad, 2015)FIGURA 4.9. DISTRIBUCIÓN DE PRESIONES SOBRE EL PANEL SUMERGIDO
ELABORADO: Jurado – Oñate, 2020FOTOGRAFÍA 4.1. TOPOGRAFÍA FINAL DEL LECHO DE ARENA EN MODELO
EXPERIMENTAL
FUENTE: (Hamad, 2015)FIGURA 4.15. TOPOGRAFÍA FINAL DEL LECHO DE ARENA TRAZADA EN MATLAB
FUENTE: (Hamad, 2015)TABLA 4.6. TENSIONES DE REYNOLDS TANTO PARA EL MODELO NUMÉRICO (PRUEBA 23)
COMO PARA EL MODELO EXPERIMENTAL PARA LOS PUNTOS DE ESTUD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