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W-3D 물리모델]Electro-mechanics / 기전역학

1. Electric Fields / 전기장

전기포텐셜은 계산영역 내에서 전하와 포텐셜 분포의 함수로 계산될 수 있다. 전기포텐셜은 Model Setup Physics Electro-mechanics 에서 활성화된다. Permittivity of vacuum 는 해석을 위해 시스템 단위에 맞게 지정되어야 한다. 해석하는 동안에 입자가 존재하면 입자전하가 정의되어야 한다. ; 영역 내 존재하는 모든 입자는 같은 전하를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게다가 Fluid electric charge field 모델은 또한 전기적으로 부하가 걸린 유체를 해석하도록 활성화 될 수가 있다.

유체#1 과 유체#2 의 전도도 및 유전체상수는 Fluids Properties Electrical Properties 에서 정의된다. Fluid electric charge field 가 사용되면 초기유체전하밀도는 Model Setup Meshing & Geometry Initial 에서 정의 된다. 그러나 전기포텐셜(전기장)은 계산영역 내에서 유체가 없이도 활성화 될 수 있다.

격자 경계에서의 조건들은 Model Setup Meshing & Geometry Mesh Boundaries 에서 정의된다. 전기 포텐셜의 경계조건은 전도 또는 절연일 수 있다. 한 경계는 Specified potential boundary 을 선택하고 그 경계에서의 전기 포텐셜의 특정 값을 지정함으로써 전도를 할 수가 있다. 또한 시간의 함수로 주어질 수도 있다. Fluid electric charge field 가 사용되면 밀도가 시간의 함수로 입구경계에서 정의될 수 있다.

계산영역 내에 고체구성요소가 존재하면 이들은 두 가지 형태를 갖는다: IOEPOTM 의 값에 따라 유전체거나 전도체. IOEPOTM 가 지정되지 않으면 그 구성요소는 고정 포텐셜을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 속성들은 Meshing & Geometry Component Properties Electrical Properties 에서 정의된다. 구성요소의 초기부하밀도는 Meshing & Geometry Geometry Component Initial Electric Charge Density 에서 정의 된다.

포텐셜을 지배하는 Poisson 방정식의 해는 GMRES 반복법에 의해 구해진다. 수렴기준과 최대 반복수는 EPSELE 과 MAXPHIT에서 각기 정의된다. 두 매개변수 모두 적당한 디폴트 값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이들을 변화시키지 않아야 한다. 이 모두 input (File Edit Simulation) 파일을 편집하여 변경된다.

See also:

  • Input Variable Summary and Units section Scalar Electrostatics, Electro-osmosis and Electromechanics Model Parameters
  • Model Reference -> Dielectrophoresis
  • Model Reference -> Electro-osmosis (Zeta Potential)
  • Model Reference -> Particles

2, Electro-osmosis (Zeta Potential) / 전기 삼투

많은 물질들(즉 실리카 또는 유리 같은)은 물(극성을 띠는)같은 매질(전해용액)과 접촉하게 될 때 표면전하를 가질 것이다. 이런 경우가 발생할 때에 EDL (Electric Double Layer)을 생성한다. EDL 이란 표면전하를 중립화하기 위해 양이온보다 많은 음이온이 존재하는 부하표면 가까이의 층을 말한다. 전기 포텐셜(zeta-potential) 이 실험적으로 측정될 수 있는 액체 고체쌍의 물성을 보여주는 EDL에 의해 생성된다. 전기삼투유동이 EDL 의 존재와 그 위에 부과된 외부 포텐셜로 인해 발생한다. 전기삼투를 모델링하기 위해 electric potential 모델이 Electric Fields 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Physics Electro-mechanics 에서 활성화되어야 한다. 전기삼투모델은 이때 같은 window 에서 활성화된다.

 

이 모델은 Physics Electro-mechanics 에서 정의되는 2개의 집중변수, F*C F/R*T 를 필요로 하는데 여기서 F 는 Faraday 상수, C 는 체적용액내의 이온농도, R 은 보편기체상수 그리고 T 는 Kelvin 단위의 주위 온도이다. 유체의 전기 물성치는 Fluids Properties Electrical Properties 에서 정의된다.

구성요소들의 전기적물성은 Meshing & Geometry Geometry Component Electrical Properties 에서 정의된다. 전기포텐셜 모델에서 필요한 물성에 추가하여 Zeta-potential 이 또한 정의되어야 한다. Zeta-potential 은 단지 개체(모든 격자 경계에서는 Zeta-potential 의 구배가 0으로 가정되어 있다.)와 관련되어 있고 디폴트 Zeta-potential 은 0이다.

See also:

3. Electro-thermal Effects / 전기열 효과

자유전하 및 Joule 발열은 물질의 전기전도에 따라 나타나는 두 결과이다. 전하의 형성, 이완 그리고 대류이송을 기술하는 전하밀도 방정식은 전기장 방정식과 함께 해석된다. 그 때에 전하층은 유체 경계면이나 유체와 전기와 유전체 힘을 유도하는 고체면사이의 경계에서 나타난다.

Joule 발열과 추가력이 전류에 의한 고체와 유체의 가열을 포함하도록 더해질 수 있다. 이런 모델들의 선택은 Physics Heat Transfer Fluid internal energy advectionPhysics Heat Transfer Full energy equation 에서 열에너지 전달의 활성화를 필요로 한다. 전기포텐셜모델 역시 Physics Electro-mechanics 에서 활성화되어야 한다.

electro-thermal forces 선택을 갖는 Joule 발열은 유전율과 온도에 따른 전도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유체내의 힘들을 포함한다. 각 속성은 Permittivity temperature sensitivity, Conductivity temperature sensitivity 그리고 Electric field angular frequency 와 같이 Physics Electromechanics and Fluids에서 정의된다.

전기 전도도는 전기 열 효과가 작동하기 위해 유체에서 정의되어야 한다. 이는 Model Setup → Fluids → Fluid 1 or 2 → Electrical Properties 에서 정의된다.

4. Dielectrophoresis / 유전영동

유전력은 적용되는 전기장에서 유체분자 및 입자의 극성화에 의해 발생한다. 우선 전기 포텐셜 모델이 Physics → Electro-mechanics 에서 활성화되어야 한다. 그 후에 유전영동 모델은 같은 창에서 활성화된다. 유체에 대한 유전 속성은 Fluids → Properties → Electrical Properties 에서 정의된다.

형상 구성요소에서 관련물성은 Meshing & Geometry → Geometry → Component 에서 정의된다.

Electrical Properties:

유전영동 모델이 Physics → Electro-mechanics 에서 활성화되면 유전력은 1보다 큰 유전상수를 갖는 유체 안에서 작용한다. 유전력은 또한 모든 계산영역에 있는 질량입자에 적용된다. 이 경우 입자 유전율은 Physics → Electro-mechanics 에서 정의되어야 한다. 유전이동은 각 힘이 영향을 미치는 척도가 다르기 때문에 전기삼투모델과는 같이 사용될 수 없다. 유전이동모델은 전기삼투가 작동되면 자동적으로 비활성화된다. 전기삼투모델은 Physics → Electro-mechanics 에서 작동되는데 이 경우 추가 input 이 필요하고 같은 Electro-mechanics 창에서 주어질 수 있다. Meshing & Geometry → Geometry → Component Properties → Electrical Properties 에 있는 각 고체 구성요소에 대해 Zeta-potential 이 정의된다. Permittivity of vacuum (ELPERM)은 electrical units 에서 지정되는데 적정한 전기단위(즉, MKS 단위의 경우 볼트의 포텐셜, 쿨롱의 전하에 대해 ELPERM = 8.8542×10-12 C/(V m))를 반영하도록 정의되어야 한다. 모든 유전율들은 물질의 유전상수에 대한 진공의 유전상수 비율로 나타난다.

두 implicit solver, GMRES ADI 가 전기 포텐셜 방정식 풀이에 이용된다.
See also:
• Model Reference -> Electric Fields.
• Model Reference -> Electro-osmosis (Zeta Potential).
• Flow Science Technical Note 56 on modeling dielectric phenomena at http://users.flow3d.com/technotes/default.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