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gure 7. Formation of incident and reflected waves.

Investigate Impact Force of Dam-Break Flow against Structures by Both 2D and 3D Numerical Simulations

2D 및 3D 수치 시뮬레이션에 의한 댐 붕괴유동의 구조물 충격력 조사

1 Faculty of Water Resources Engineering, Thuyloi University, 175 Tay Son, Dong Da, Ha Noi 116705, Vietnam
2 Hydraulic Construction Institute, 3/95 Chua Boc, Dong Da, Ha Noi 116705, Vietnam
* Author to whom correspondence should be addressed.
Academic Editor: Costanza Aricò
Water 2021, 13(3), 344;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일부 2D 및 3D 수치 모델이 침수 지역에 고립된 건물 또는 건물 배열이 있는 곳에서 홍수 파동을 시뮬레이션하는 능력을 조사하는 것이었습니다.

먼저, 제안된 2D 수치 모델은 구조화된 메시에서 2D 천수(shallow water) 방정식(2D-SWEs)을 해결하기 위한 유한 볼륨 방법(FVM)을 기반으로 했습니다.

FDS (flux-difference splitting)은 정확한 질량 균형을 얻기 위해 사용되었고 Roe 체계는 Riemann 문제를 근사하기 위해 호출되었습니다.

둘째,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3D CFD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선택되었으며, 여기에는 두 가지 난류 모델이 포함된 Flow 3D 모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RNG(Renormalized Group) 및 LES(Large-eddy Simulation)를 사용하는 레이놀즈 평균 Navier-Stokes(RAN)입니다. 댐 붕괴 흐름으로 인한 장애물에 대한 충격력의 수치 결과는 3D 솔루션이 2D 솔루션보다 훨씬 낫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건물 배열에 작용하는 충격력의 3D 수치 힘 결과를 보유하고 있는 실험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속도 유도력이 동적 힘에 미치는 영향은 Froude 숫자의 함수와 사고 파동의 수심 함수에 의해 정량화 되었습니다. 또한, 우리는 힘의 강도의 피크 값의 3D 계산 결과에 대한 초기 물 단계와 댐 붕괴 폭의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some 2D and 3D numerical models to simulate flood waves in the presence of an isolated building or building array in an inundated area. Firstly, the proposed 2D numerical model was based on the finite-volume method (FVM) to solve 2D shallow-water equations (2D-SWEs) on structured mesh. The flux-difference splitting method (FDS) was utilized to obtain an exact mass balance while the Roe scheme was invoked to approximate Riemann problems. Secondly, the 3D commercially available CFD software package was selected, which contained a Flow 3D model with two turbulent models: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RANs) with a renormalized group (RNG) and a large-eddy simulation (LES). The numerical results of an impact force on an obstruction due to a dam-break flow showed that a 3D solution was much better than a 2D one. By comparing the 3D numerical force results of an impact force acting on building arrays with the existence experimental data, the influence of velocity-induced force on a dynamic force was quantified by a function of the Froude number and the water depth of the incident wave. Furtherm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initial water stage and dam-break width on the 3D-computed results of the peak value of force intensity.

Keywords: dam-break wave2D numerical modelFlow 3D modelstructuresimpact force

Introduction

홍수 위험 분석에 따른 도시 계획은 최근에 큰 연구 과제였습니다.

건물 또는 건물 그룹에 대한 홍수 파동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하류 지역에 대한 조기 경고 또는 안전 의식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기본적으로 댐 파괴 흐름에 대한 연구는 실험 측정이나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추정 할 수 있습니다 [1,2,3,4,5,6].

컴퓨터 처리 능력의 증가로 인해 불연속 흐름에 대한 수치 연구가 비용 효율적이되었습니다. 지난 10 년 동안 천수(shallow water) 솔버는 정확성과 계산 능력면에서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침수 가능 지역의 수심 및 속도 프로파일과 같은 유체 역학적 매개 변수에 많은주의를 기울였습니다 [1,2,3,4,5,6,7,8].

Migot et al. [9]는 도시 홍수의 실험적 모델링에 관한 많은 기사를 검토했습니다. 그 논문에 언급 된 45 개의 작품 중 단 4 개의 프로젝트 만이 장애물에 가해지는 일정한 또는 비정상적인 흐름의 힘 또는 압력을 측정했습니다.

또한 물리적 및 2D 수치 모델에서 건물 또는 건물 그룹에 돌발 홍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습니다. 천수(shallow water) 모델은 [10,11]에서 고립된 장애물에 대한 충격의 힘을 예측하는데 사용되었습니다.

한편 Shige-eda [12]는 액체와 건물 배열 간의 상호 작용을 결정하기 위해 물리적 모델과 2D 수치 체계를 선택했습니다. Aureli와 Shige-eda는 수직 속도와 가속도를 무시하기 때문에 댐 파괴 흐름의 힘을 추정하기 위한 2D 천수(shallow water) 방정식 (SWE)의 단점을 보여주었습니다 [10,12].

Migot [9]은 또한 장애물 주변의 시뮬레이션된 홍수 흐름에 대한 2D SWE에 대한 여러 출판물이 있었지만 이 주제에 대한 3D 수치 모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최근 전산 유체 역학 (CFD) 3D 시뮬레이션은 유체 흐름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광범위한 도구가되었습니다.

댐 파괴 파의 특성은 [13,14,15,16]에 의해 주목되었고 Issakhov [17]는 다양한 종류의 장애물이 압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CFD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그들은 분포가 댐 표면에서 3 배 더 낮다는 것을 밝혔다.

Aureli [10]는 댐 파괴 파가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의 정적 힘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 테스트와 2D 및 3D 수치 모델을 사용했습니다. Mokarani [18]는 댐 브레이크 흐름 영향의 VOF 시뮬레이션에서 피크 압력 안정성 조건을 연구했습니다.

앞서 언급한 작품에서 구조물이나 구조물 군에 작용하는 힘은 압력에 의한 정 수력 또는 정력이었다. 한편, 급류에서 속도로 인한 힘은 압력 력보다 크거나 같았습니다 [19]. Armanini [20]는 정상 흐름에 대해이 항을 추정하기 위한 분석적 표현 만을 제시했습니다. 우리가 아는 한, 건물 그룹에 작용하는 비정상 흐름의 동적 힘을 생성하기 위해 2D 및 3D 수학적 모델을 모두 사용하는 작업은 없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2D 수치 모델과 3D 수학적 모델 모두에 의해 고립 된 장애물 또는 장애물 그룹에 대한 급격한 비정상 흐름의 테스트 사례를 재현했습니다. 수심 및 유속 수문 그래프와 같은 몇 가지 수력 학적 특성이 추정되었으며 측정 된 데이터와 매우 잘 일치했습니다.

특히 댐 브레이크 흐름이 서로 다른 건물에 가하는 동적인 힘도 시뮬레이션했습니다. 속도 유도 힘이 동적 힘에 미치는 영향 수준을 나타내는 매개 변수는 Froude 수와 입사 파동의 수심의 함수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한 붕괴된 댐 사이트 폭 (b)과 초기 수위 (h0)는 충격력의 최대 값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고려되었습니다.

Figure 1. (a) Configuration of experiment test (dimension in meters); (b) Gauges on the vertical front face of building.
Figure 1. (a) Configuration of experiment test (dimension in meters); (b) Gauges on the vertical front face of building.
Figure 2. (a) Distributed pressure profiles at centerline of front face of column; (b) Comparison of load-time histories simulated by different numerical models
Figure 2. (a) Distributed pressure profiles at centerline of front face of column; (b) Comparison of load-time histories simulated by different numerical models
Figure 3. Group of buildings in flooded area.
Figure 3. Group of buildings in flooded area.
Figure 4. Water depth and u-velocity profiles at gauge b.
Figure 4. Water depth and u-velocity profiles at gauge b.
Figure 5. Water hydrographs at gauges a and c.
Figure 5. Water hydrographs at gauges a and c.
Figure 6. Velocity component profiles at gauges a and c.
Figure 6. Velocity component profiles at gauges a and c.
Figure 7. Formation of incident and reflected waves.
Figure 7. Formation of incident and reflected waves.
Figure 8. Snapshots of streamlines of Froude number at different times: 1.0 s, 2.0 s, 5.0 s and 10 s.
Figure 8. Snapshots of streamlines of Froude number at different times: 1.0 s, 2.0 s, 5.0 s and 10 s.
Figure 9. Force in the flow direction exerted on 6 buildings.
Figure 9. Force in the flow direction exerted on 6 buildings.
Figure 10. The linear regression between forces per unit width (F) and q2b/h0.
Figure 10. The linear regression between forces per unit width (F) and q2b/h0.

Conclusions

댐 붕괴 흐름으로 인한 홍수 파도는 높은 속도 또는 큰 깊이가 관련되었을 때 건물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본 논문에서는 2D 및 3D 수치 모델의 건물 및 건물 그룹에 대한 빠른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유압 특성과 충격 부하를 추정할 수 있는 능력을 조사했습니다. 천수(shallow water) 방정식에 기초한 2D 수학 모델은 FDS 방법으로 해결되었으며, FDS 방법은 최신 버전의 Flow 3D 유체 역학 모델과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연구의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수심 또는 속도 프로파일을 공식화하기 위해 2D 및 3D 수치 솔루션은 모두 매우 유사합니다. 제안된 2D 수치 모델은 정적 힘의 최대 값 뿐만 아니라 수심 및 속도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유압 특성을 예측하는 데 적합합니다. 그러나 LES 및 RAN 난류 모듈이 포함된 3D 유체역학 모델은 2D 얕은 흐름 모델이 1개만 제공하는 동안 두 개의 최고 충격 부하를 잘 포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D 결과는 실험 결과와 더 가깝습니다.
(2) 여러 건물에 대한 정적 및 동적 힘은 모두 LES 모듈을 사용하여 Flow 3D에 의해 계산되었습니다. 건물에서 속도에 의한 힘과 압력의 역할은 위치에 따라 다릅니다. 댐 현장 근처에서, 속도 유도 힘은 댐 파괴 파동의 주 방향에서 멀리 떨어져 있거나 두 번째 배열에서 압력 힘이 더 중요합니다. 속도 유도 힘의 영향은 매개 변수 α에 의해 정량화되며, 이는 사고파의 Froude 숫자와 수심 함수로 수행됩니다. q2b/h0과 정적 힘과 동적 힘의 피크 강도 사이의 선형 회귀 관계는 합리적인 R-제곱 양으로 해결됩니다.

추가 연구에서, 제시된 2D 수치 모델의 견고성과 효과는 더 명확하게 드러날 것입니다. 대규모 도메인에 대한 홍수 흐름을 시뮬레이션하는 데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α 매개변수의 제안된 방정식(21)은 실제 사례 연구에서 다운스트림 영역의 건물에 대한 속도 유도 힘의 영향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한 매우 의미가 있습니다. 이 매개 변수의 정확도 수준을 높이려면 서로 다른 조건에서 장애물에 작용하는 여러 가지 힘 실험이 구현되어야 합니다.

References

  1. Testa, G.; Zuccala, D.; Alcrudo, F.; Mulet, J.; Frazao, S.S. Flash flood flow experiment in a simplifed urban district. J. Hydraul. Res. 200745, 37–44. [Google Scholar] [CrossRef]
  2. Soares-Frazao, S.; Zech, Y. Dam-break flow through an idealized city. J. Hydraul. Res. 200846, 648–665. [Google Scholar] [CrossRef]
  3. Soares-Frazão, S.; Zech, Y. Experimental study of dam-break flow against an isolated obstacle. J. Hydraul. Res. 200745, 27–36. [Google Scholar] [CrossRef]
  4. Soares-Frazão, S. Experiments of dam-break wave over a triangular bottom sill. J. Hydraul. Res. 200745, 19–26. [Google Scholar] [CrossRef]
  5. di Cristo, C.; Evangelista, S.; Greco, M.; Iervolino, M.; Leopardi, A.; Vacca, A. Dam-break waves over an erodible embankment: Experiments and simulations. J. Hydraul. Res. 201856, 196–210. [Google Scholar] [CrossRef]
  6. Evangelista, S. Experiments and numerical simulations of dike erosion due to a wave impact. Water 20157, 5831–5848. [Google Scholar] [CrossRef]
  7. Li, Y.L.; Yu, C.H. Research on dam break flow induced front wave impacting a vertical wall based on the CLSVOF and level set methods. Ocean Eng. 2019178, 442–462. [Google Scholar] [CrossRef]
  8. Özgen, I.; Zhao, J.; Liang, D.; Hinkelmann, R. Urban flood modeling using shallow water equations with depth-dependent anisotropic porosity. J. Hydrol. 2016541, 1165–1184. [Google Scholar] [CrossRef]
  9. Mignot, E.; Li, X.; Dewals, B. Experimental modelling of urban flooding: A review. J. Hydrol. 2019568, 334–342. [Google Scholar] [CrossRef]
  10. Aureli, F.; Dazzi, A.; Maranzoni, A.; Mignosa, P.; Vacondio, R. Experimental and numerical evaluation of the force due to the impact of a dam break wave on a structure. Adv. Water Resour. 201576, 29–42. [Google Scholar] [CrossRef]
  11. Milanesi, L.; Pilotti, M.; Belleri, A.; Marini, A.; Fuchs, S. Vulnerability to flash floods: A simplified structural model for masonry buldings. Water Resour. Res. 201854, 7177–7197. [Google Scholar] [CrossRef]
  12. Shige-eda, M.; Akiyama, J. Numerical and experimental study on two dimensional flood flows with and without structures. J. Hydraul. Eng. 2003129, 817–821. [Google Scholar] [CrossRef]
  13. Cagatay, H.O.; Kocaman, S. Dam break flows during initial stage using SWE and RANs approaches. J. Hydraul. Res. 201048, 603–611. [Google Scholar] [CrossRef]
  14. Yang, S.; Yang, W.; Qin, S.; Li, Q.; Yang, B. Numer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dam break wave. Ocean Eng. 2018159, 358–371. [Google Scholar] [CrossRef]
  15. Robb., D.M.; Vasquez., J.A. Numerical simulation of dam break flows using depth averaged hydrodynamic and three dimensional CFD models. In Proceedings of the 22nd Canadian Hydrotechnical Conference, Ottawa, ON, Canada, 28–30 April 2015. [Google Scholar]
  16. Kocaman, S.; Evangelista, S.; Viccione, G.; Guzel, H.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is of 3D dam break waves in an enclosed domain with a single oriented obstacles. Environ. Sci. Proc. 20202, 35. [Google Scholar] [CrossRef]
  17. Issakhov, A.; Zhandaulet, Y.; Nogaeva, A. Numerical simulation of dambreak flow for various forms of the obstacle by VOF method. Int. J. Multiph. Flow 2018109, 191–206. [Google Scholar] [CrossRef]
  18. Mokarani, C.; Abadie, S. Conditions for peak pressure stability in VOF simulations of dam break flow impact. J. Fluids Struct. 201662, 86–103. [Google Scholar] [CrossRef]
  19. Liu, L.; Sun, J.; Lin, B.; Lu, L. Building performance in dam break flow—an experimental sudy. Urban Water J. 201815, 251–258. [Google Scholar] [CrossRef]
  20. Armanini, A.; Larcher, M.; Odorizzi, M. Dynamic impact of a debris flow front against a vertical wall. In Proceedings of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bris-flow hazards mitigation: Mechanics, prediction and assessment, Padua, Italy, 14–17 June 2011. [Google Scholar] [CrossRef]
  21. Hubbard, M.E.; Garcia Navarro, P. Flux difference splitting and the balancing of source terms and flux gradients. J. Comput. Phys. 2000165, 89–125. [Google Scholar] [CrossRef]
  22. Roe, P.L. A basis for upwind differencing of the two-dimensional unsteady Euler equations. In Numerical Methods in Fluids Dynamics II;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1986. [Google Scholar]
  23. Bradford, S.F.; Sander, B. Finite volume model for shallow water flooding of arbitrary topography. J. Hydraul. Eng. (ASCE) 2002128, 289–298. [Google Scholar] [CrossRef]
  24. Brufau, P.; Garica-Navarro, P. Two dimensional dam break flow simulation. Int. J. Numer. Meth. Fluids 200033, 35–57. [Google Scholar] [CrossRef]
  25. Hien, L.T.T. 2D Numerical Modeling of Dam-Break Flows with Application to Case Studies in Vietnam. Ph.D. Thesis, Brescia University, Brescia, Italy, 2014. [Google Scholar]
  26. Hien, L.T.T.; Tomirotti, M. Numerical modeling of dam break flows over complex topography. Case studies in Vietnam. In Proceedings of the 19th IAHR-APD Congress 2014, Hanoi, Vietnam, 21–24 September 2014; ISBN 978-604-82-1383-1. [Google Scholar]
  27. Flow-3D, Version 12.0; User Mannual; Flow Science Inc.: Santa Fe, NM, USA, 2020.
  28. Guney, M.S.; Tayfur, G.; Bombar, G.; Elci, S. Distorted physical model to study sudden partial dam break flow in an urban area. J. Hydraul. Eng. 2014140, 05014006. [Google Scholar] [CrossRef]
  29. Shige-eda, M.; Akiyama, J. Discussion and Closure to “Numerical and experimental study on two dimensional flood flows with and without structures” by Mirei Shige-eda and Juichiro Akiyama. J. Hydraul. Eng. 2005131, 336–337. [Google Scholar] [CrossRef]
  30. Ritter, A. Die Fortpflanzung der Wasserwelle (Generation of the water wave). Z. Ver. Dtsch. Ing. 189236, 947–954. [Google Scholar]
중간 단계, 땅은 여전히 ​​대부분 물에 젖은 상태임

폭우에 따른 홍수 시뮬레이션

Flash Flood Simulation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국지성 폭우가 빈발하고, 기상 이변에 따라 단시간의 폭우에 의해 돌발 홍수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FLOW-3D를 이용한 수치해석으로 홍수 발생시 주요 피해지역이 어떻게 분포될지, 상류피해 영역과 하류피해 영역을 사전에 검토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FLOW-3D 사용자들이 이미 알고 있듯이, 우리는 보통 극단적인 이벤트 모델링, 복잡한 자유 표면 등을 매우 잘 예측합니다. 이상하게도 첫 번째 질문은 강수량을 모형화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었습니다. 역사적으로 우리의 소프트웨어는 홍수 평야/방류형 문제에 특별히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2D 솔루션이 대부분 잘 작동하기 때문에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일주일 동안 아침을 먹었는데, 돌발 홍수의 경우, 내 결론은 우리가 그것을 매우 잘 한다는 것이다.

돌발홍수 연구에 사용된 지형
돌발홍수 연구에 사용된 지형, 상부 층은 다공성이고 하부 층은 기반암임

여기에 사용된 두 가지 주요 모델은 매스 소스 와 다공성 매체 모델 입니다.

강우전 초기상태
강우전 초기상태

이 시뮬레이션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공성 매체인 상부층이있는 지형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 층은 불투과성 기반암과 겹칩니다. 또한 상부 층은 상부 표면의 유체 공급원으로 정의됩니다.

이 시뮬레이션에서 180분 동안 지속되는 강수와 함께 돌발 홍수를 모델링하고 있습니다. 하층은 기반암이며 초기에 예상 한대로 흐름은 상층, 투과성 층으로의 침투와 일반적인 이류 / 네비어스톡스 현상에 의해 제어됩니다. 투과 층이 포화되면 지표수 현상이 더 많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이는 차례로 협곡의 더 낮은 고도에서 급류 흐름으로 이어집니다.

중간 단계, 땅은 여전히 ​​대부분 물에 젖은 상태임
중간 단계, 땅은 여전히 ​​대부분 물에 젖은 상태임

노력의 결과로 중요하고 실행 가능한 정보를 쉽게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우리는 두 가지 상황을 동시에 시뮬레이션했습니다: 협곡(도메인 오른쪽)에서 형성된 런오프와 후속 급류 그리고 미니 캐니언에서 인접한 이미 존재하는 수역(도메인 왼쪽)으로의 런오프.

강수량 맵은 전체 영역에 걸쳐 공간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모두 완전히 정의될 수 있으며, 다공성 행동은 포화 매체와 비포화 매체 모두에 대해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폭우 후 급류 형성
폭우 후 급류 형성. 오른쪽의 협곡에서 물이 고이고 주요 급류가 형성되고 왼쪽의 기존 수역으로 무거운 방류 줄기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큰 부피의 흐름과 물이 고이는 것을 볼 것으로 예상했던 하단 (고도 측면) 근처에 위치한 프로브에 위치한 수심의 시계열을 보는 것은 매우 흥미 롭습니다. 

처음에는 다공성 층이 물을 적극적으로 흡수하는 동안 지표수 풀링이 보이지 않습니다. 그런 다음 층이 포화되면 강수 유입과 급류를 통한 유출 사이의 정상 상태 균형을 관찰 할 때까지 수심의 급격한 증가를 관찰됩니다.

마지막으로 영역을 다양한 하위 구성 요소로 타일링하여 강수율 매핑을 훨씬 더 정교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조선/해양 분야

Coastal & Maritime

FLOW-3D 는 선박설계, 슬로싱 동역학, 파도에 미치는 영향 및 환기를 포함하여 해안 및 해양 관련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이상적인 소프트웨어입니다.

자유 표면 유체 역학, 파동 생성, 움직이는 물체, 계선 및 용접 공정과 관련한 FLOW-3D 의 기능은 해양 및 해양 산업에서 CFD 공정을 모델링하는 데 매우 적합한 도구입니다. 해안 응용 분야의 경우  FLOW-3D  해안 응용 분야의 경우 FLOW-3D  는 해안 구조물에 대한 심한 폭풍 및 쓰나미 파동의 세부 사항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돌발 홍수 및 중요 구조물 홍수 및 피해 분석에 사용됩니다.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유 표면 – 파동 유체 역학 및 오버 토핑 : 규칙 및 불규칙파 및 파동 스펙트럼 (Pierson Moskowitz, JONSWAP)
  • Seakeeping – slamming, planing, porpoising 및 선체 선체 변위 : 완전히 결합된 선박 및 수중 차량 유체 역학
  • 선체 – Resistance, stability and dynamics: surging, heaving, pitching and rolling motion (response amplitude operators or RAOs)
  • 슬로싱 – LNG / 밸러스트 탱크
  • 해양 공학 – 파동 에너지 변환기
 

해안 응용 분야의 경우, FLOW-3D 는 강력한 폭풍과 쓰나미 현상에 의한 해안 구조물이 받는 영향에 대한 세부 사항 예측, 돌발 홍수에 의한 중요한 시설물에 대한 정확한 피해 분석 등을 위해 사용됩니다.

Mooring Lines, Springs and Ropes

FLOW-3D (계류선 및 스프링 등)의 특수 물체를 다른 움직이는 물체에 부착하면 엔지니어가 선박 런칭, 부유 장애물 역학, 부표, 파도에너지 변환기 등을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습니다.

Welding

FLOW-3D 용접 모듈이 추가되면서 조선업계의 용접분야에서는 다공성 등 용접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어 선체의 품질을 크게 높이는 동시에 생산 시간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Coastal & Maritime Case Studies

FLOW-3D 사용자들은 연약한 해안선 보호, 구조물에 대한 파장 시뮬레이션, 선체 설계 최적화, 선박 내 환기 연구 등 해안 및 해양 애플리케이션에 FLOW-3D를 사용합니다.

우리는 보트가 세계 항해를 하면서 마주칠 것 같은 다양한 조건에서 항해를 할 수 있는지를 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속도뿐만 아니라 연료 효율과 안전도 고려하도록 설계를 수정할 수 있었습니다.
– Pete Bethune, skipper of Earthrace

Lateral wave impact in waterWave resultsEarthrace vessel
Validation of Sloshing Simulations in Narrow Tanks / Aerial Landslide Generated Wave Simulations / Earthrace: Speed, Fuel Efficiency and Safety
Wave impact vertical displacementEmerged breakwater accropodeStokes theory horizontal velocity
Wave Impact on Offshore StructuresInteraction Between Waves and BreakwatersWave Forces on Coastal Bridges

기타

Bibliography

Models

  • Hybrid Shallow Water/3D Flow
  • Moving Objects
  • Sediment Scour
  • More Modeling Capabilities

관련 기술자료

The Fastest Laptops for 2024

FLOW-3D 수치해석용 노트북 선택 가이드

2024년 가장 빠른 노트북 PCMag이 테스트하는 방법 소개 : 기사 원본 출처: https://www.pcmag.com/picks/the-fastest-laptops CFD를 수행하기 위한 노트북 선정 기준은 별도로 ...

Propagation Velocity of Excitation Waves Caused by Turbidity Currents

혼탁류에 의한 자극파의 전파 속도 Guohui Xu, Shiqing Sun, Yupeng Ren, Meng Li, Zhiyuan Chen Abstract Turbidity currents are important ...
Nozzle Scour

Study on the Sand-Scouring Characteristics of Pulsed Submerged Jets Based on Experiments and Numerical Methods

실험과 수치 해석을 기반으로 한 펄스 잠수 제트의 모래 침식 특성 연구 Hongliang Wang, Xuanwen Jia,Chuan Wang, Bo Hu, Weidong ...
river depth

Ecological inferences on invasive carp survival using hydrodynamics and egg drift models

수리역학 및 알 이동 모델을 활용한 외래종 잉어 생존에 대한 생태적 추론 Ruichen Xu, Duane C. Chapman, Caroline M. Elliott, ...
Velocity of pipe

Dynamic Performance of Suspended Pipelines with Permeable Wrappers under Solitary Waves

단일 파동 하에서 투과성 포장지가 있는 현수 파이프라인의 동적 성능 Youkou Dong, Enjin Zhao, Lan Cui, Yizhe Li, Yang Wang ...
Scouring

Non-Equilibrium Scour Evolution around an Emerged Structure Exposed to a Transient Wave

일시적인 파도에 노출된 구조에서의 비평형 세굴 결과 Deniz Velioglu Sogut ,Erdinc Sogut ,Ali Farhadzadeh,Tian-Jian Hsu Abstract The present study evaluates ...
Omega-Liutex Method

Prediction of the Vortex Evolution and Influence Analysis of Rough Bed in a Hydraulic Jump with the Omega-Liutex Method

Omega-Luitex법을 이용한 수력점프 발생시 러프 베드의 와류 진화 예측 및 영향 분석 Cong Trieu Tran, Cong Ty Trinh Abstract The ...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tudy of Perforated Monopiles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tudy of Perforated Monopiles

Mary Kathryn WalkerFlorida Institute of Technology, mwalker2022@my.fit.edu Robert J. Weaver, Ph.D.Associate ProfessorOcean Engineering and Marine SciencesMajor Advisor Chungkuk Jin, Ph.D.Assistant ...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Local Scour for Tripod Pile Foundation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Local Scour for Tripod Pile Foundation

Waqed H. Hassan | Zahraa Mohammad Fadhe* | Rifqa F. Thiab | Karrar MahdiCivil Engineering Department, Faculty of Engineering, University of Warith Al-Anbiyaa, Kerbala 56001, IraqCivil ...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the pulse width and amplitude on sand bed scouring by a vertical submerged pulsed jet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the pulse width and amplitude on sand bed scouring by a vertical submerged pulsed jet

수직 수중 펄스 제트에 의한 모래층 정련에 대한 펄스 폭과 진폭의 영향 조사 Chuan Wang abc, Hao Yu b, Yang Yang b, Zhenjun Gao c, Bin Xi b, Hui Wang b, Yulong Yao b aInternational Shipping Research Institute, GongQing Institute ...